이 년 전 지역의 마라톤 대회에 참가한다고 달리기 연습을 몇 번 하다 간신히 완주하고 오랫동안 뛰지 않았다.
올해 4월 다시 같은 대회에 참석하고 무슨 이유인지 습관처럼 뛰기 시작했다. 그렇게 몇 번을 뛰다가 주위를 살펴보니 러닝 붐이 일어나고 있었다.
전국적인 러닝센터가 생겨나고 지역별 러닝 크루도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내가 달리는 진주의 강변에서도 함께 모여 뛰는 사람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고프로를 들고 뛰면서 유튜브에 러닝 영상을 올리는 사람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각자의 이유로 많은 사람이 뛰고 있다.
달리기를 시작하면서 누구나 고민하는 것이 속도이다. 종목의 특성상 더 강하게 오래 뛰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빠르게 긴 거리를 뛰는 일은 쉽지 않다. 빠르게 뛰면 숨이 차고, 천천히 긴 거리를 달리면 다리가 아프다. 누군가의 코치를 받아서 시행착오를 줄이면 좋겠지만 대도시가 아닌 지역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나는 유튜브 검색을 통해 알게 된 지식을 바탕으로 러닝을 했다.
처음에는 보통의 러너처럼 빠르게 달리기에 초점을 두었다. 기록은 단축되었지만 그리 오래 지나지 않아서 문제가 생겼다. 탄성이 좋다는 굽이 높은 카본화에 대한 정보를 접하고 곧바로 구매하여 신고 달리다가 발목에 부상이 왔기 때문이다. 일주일 정도 러닝을 중단하며 내가 왜 달리는지 질문했다. 마라톤 대회 우승이 목표가 아니라는 점은 확실했다. 보통 혼자 뛰는 나는 크루원과 어울리며 즐거움을 느낄 수 없는 상황이다. 그제야 나는 달리면서 사용하는 근육의 움직임과 사점(死點)을 견디며 넘어가는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멈추고 생각하자 달리기의 목적이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카본화는 삼분 대 페이스를 뛰는 사람에게 최적화된 러닝화라는 사실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최근 러닝 붐의 이유를 크루 문화에서 찾는 사람이 많다. 인터넷에서 러닝 브랜드의 엠버서더 혹은 러닝 인플루언서의 영상과 사진이 공유되며 달리기의 유행이 확산하였다. 브랜드의 이름이 걸린 마라톤 대회도 제법 생겨났다. 이쯤에서 러닝을 일상으로 만들기 위해서 유행이 브랜드 마케팅과 미디어에 의해 기획된 정황을 한 번쯤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러닝 유행에 깃든 상업성을 비판하자는 것이 아니라 오랫동안 달리기 위해서 나의 달리기, 나의 시간에 대해 질문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흔히 인생을 마라톤에 비유한다. 20대에는 빠르게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하고 싶은 마음이 크지만, 지나치게 속도를 높이면 오버 페이스에 걸려서 30대 이후의 삶에서 나의 페이스를 찾지 못할 수 있다. 긴 거리를 빠르게 뛰는 선수도 있지만 중간에 멈추지 않고 감당할 수 있는 속도로 달리는 선수도 있다. 주위의 시선을 신경 쓰지 말고 각자 자신의 속도로 건강하게 오랫동안 달리는 것이 중요하다. 나만의 페이스를 찾기 위해서는 잠시 멈추어 레이스의 목적과 방향을 고민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나는 카본화를 벗고 조깅화를 신자 편안한 조깅이 가능해졌고 자연스럽게 나만의 페이스로 달리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