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신한울 1호기, 준공식 날 터빈 정지로 멈춰

성지영 인턴기자
등록일 2024-08-01 19:57 게재일 2024-08-02 2면
스크랩버튼
제어봉제계통 저전압 오신호 발생<br/>“안전 계통과는 무관한 설비 고장”<br/>  준공 행사는 발전 중단으로 연기

경북 울진에 있는 신한울원자력발전소가 종합 준공식 날인 1일 고장을 일으켜 자동 정지 됐다.

한국수력원자력과 산업통상자원자력은 이날 오전 7시 7분에 신한울 1호기(140만kW급) 터빈의 작동이 중단됐다고 전했다. 한울원자력본부는 중단 원인으로 보호신호 중 하나인 제어봉제계통의 저전압 오신호 발생으로 터빈이 정지된 것으로 파악했다.


터빈은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증기 힘으로 돌아가면서 전기를 만드는 장치로 한울원자력본부는 해당 설비 정비 후 발전을 재개할 예정이다.


울진에 나란히 있는 신한울 1호기와 2호기는 각각 1.4기가와트(GW)의 설비용량을 가진 쌍둥이 원전이다.


신한울 1·2호기는 핵심 설비인 원자로 냉각재 펌프(RCP)와 원전 계측 제어 시스템(MMIS)을 국산화하여 기술 자립을 이룬 국내 최초의 발전소다.


신한울 1호기는 2022년 12월에 상업 운전을 시작했으며, 신한울 2호기는 올해 4월에 상업 운전을 개시했다.


신한울 1·2호기는 연간 201억킬로와트시(kWh)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데 이는 경북 지역 전력 소비량의 45%에 해당한다.


한수원은 당초 이날 오후 황주호 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한울 1·2호 종합 준공 행사를 열 계획이었지만 이날 신한울 1호기의 발전 중단으로 행사를 연기했다.


앞서 신한울 2호기도 최근 유사한 고장이 발생해 전력 생산이 한동안 중단된 적이 있다. 신한울 2호기는 지난달 20일 제어 계통의 문제로 터빈 가동이 중지됐다가 이달 9일 발전을 재개했다.


여름철 전력 수요가 가장 높은 시기를 앞두고 원자력 발전소 한 곳의 가동이 중단되면서 전력 당국의 수급 관리에 부담이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5∼9일 오후 5∼6시 사이에 올여름 최대 전력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하고 주요 발전기와 송·변전 설비의 안정적 운영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한울원자력본부는 1일 일어난 터빈 정지 사태에 대해 안전 계통과는 무관한 설비 고장이라고 밝혔다.


/성지영 인턴기자 thepen02@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