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백진현 대구시향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
오케스트라에서 악기를 연주하지 않는 한 사람, 바로 지휘자다. 포디움에 선 지휘자는 두뼘 남짓 바톤(Baton)을 통해 자신의 음악 철학을 녹여내고 전체 하모니를 완성한다. 그래서 지휘봉을 ‘세상에서 가장 가벼우면서도 무거운 악기’로 부른다.
백진현 지휘자가 작년 11월에 대구시향에서 첫 지휘봉을 잡은 지 취임 9개월 차를 맞았다. 전임 고(故) 줄리안 코바체프가 탁월한 곡 해석 능력을 기본으로 부드러운 카리스마와 포용의 리더십을 발휘했다면, 백 지휘자는 압도적인 몰입감과 카리스마로 역동적인 지휘 스타일을 내보이고 있다. 동작도 크고 동선에도 거침이 없다. 절제된 동작과 디테일로 청중의 공감을 끌어내는 능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연주회 도중 마이크도 없이 육성으로 곡해설을 곁들이며 관객과 직접 소통하는 것도 이젠 그의 트렌드가 됐다. 대구시립교향악단 제11대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 백진현, 그를 만나봤다.
호른 연주자로 첫발 내디딘 대구시향에서 지휘자 ‘컴백’ 너무 보람
청중들의 다양한 음악적 욕구·취향·기호 충족시킬 레퍼토리 고민
클래식은 이미 일상화, 대중성·음악성·전문성 사이에서 균형 추구
연주회 기획할 때 서곡·협주곡-심포니·앙코르곡 다양하게 배치
-대구시향 상임지휘자로 취임 9개월을 맞은 소회는?
△지난해 11월 취임 연주회부터 대략 14회 정도 공연을 지휘했다. 대구콘서트하우스에서의 정기 및 기획연주회뿐만 아니라 서구, 동구, 달서구 공연장을 비롯 코오롱야외음악당, 신천둔치 등 대구 곳곳에서 시민들과 음악으로 소통하며, 따듯한 관심과 사랑을 몸소 느낄 수 있었다. 이에 보답하기 위해 앞으로도 다양한 작품, 수준 높은 무대를 선보이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그동안 단원 개개인의 장단점도 충분히 파악했고,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오케스트라의 앙상블을 이루는 데 중점을 둘 것이다. 호른 연주자로 첫발을 내디딘 마음의 고향과 같은 대구시립교향악단에서 지휘자로 함께하는 요즘, 단원들이 자신의 실력과 잠재력까지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이끌고 있으며 의욕 넘치는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지휘 때 가장 중점을 두는 부분은?
△오케스트라 연주의 핵심은 앙상블이다. 오케스트라에서 연주자 개인의 기량이 아무리 탁월해도 앙상블을 이루지 못하면 불협화음에 지나지 않는다. 평소 단원 각자의 기량 연마는 필수이고, 합주 때 서로의 사운드에 귀를 기울이며 하나의 음악으로 완성해 내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자 지휘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지휘자와 오케스트라는 궁극적으로 ‘재연의 예술’을 한다. 항상 작곡가의 작품에 대한 창작 의도를 잘 파악해 관객에게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곡 당시의 사회적, 문화적 상황과 시대 배경 등 작품 전반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토대로 연주 깊이와 넓이를 더해 시민들이 양질의 문화를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클래식의 대중성과 음악성(작품성, 전문성) 사이에서 고민 해결법은?
△대중성과 음악성 두 가지 모두 균형감 있게 추구해 나가는 것이다. 한때 클래식은 특정인이 향유하는 고급스러운 음악이라는 이미지가 강했지만, 오늘날 클래식은 이미 우리 일상에 스며들었고, 대구시립교향악단의 객석만 보더라도 남녀노소 다양한 관객층이 공연을 즐기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대중성은 공연의 때와 장소, 연주자의 성향 등 공연 기획에 맞춘 선곡을 통해 관객의 기호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음악성은 어떤 작품을 선곡하든 그 나름의 음악적 가치를 찾고 표현함으로써 실현해 나가고 있다.
-매 정기연주회 마다 임팩트, 생동감 있는 지휘와 디테일로 청중들의 호평을 이끌어 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변화 있는 지휘를 위해선 팀워크가 필수인데, 단원들과 호흡은 잘 맞나?
△당연히 잘 맞을 수밖에 없다. 합주 때면 단원들에게 연주에 필요한 바를 분명하게 이야기하고, 단원들도 여기에 맞춰 잘 따라주고 있다. 지휘자와 단원도 음악으로 서로 소통한다. 우리는 전문 연주단체이고, 연습실과 무대 위에서만큼은 철저하게 자신의 본분을 다해야 할 것이다. 단원은 지휘자의 해석과 요구를 잘 수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고, 지휘자는 단원들이 어떤 부분에서 연주와 표현의 어려움을 겪는지 파악해 잘 풀어나갈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하나의 작품을 완성해 나갈 때 같은 색채로 표현하는 것이 최상의 음악적 호흡이고, 그것이 잘 이뤄졌을 때 관객도 최상의 무대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지난 2월 정기연주회 앙코르곡으로 에르난데스의 ‘엘 쿰반체로’를 연주하며 록 콘서트장 같은 분위기가 연출돼 관객들이 함께 즐기며 좋아했던 기억이 있다 ‘백진현 지휘 코드’로 해석해도 되나.
△연주회를 레스토랑의 코스 요리에 비유하자면 서곡은 에피타이저, 협주곡과 심포니는 메인 요리에 해당한다. 그리고 앙코르는 멋진 코스가 끝난 아쉬움을 달래줄 특별한 디저트라 할 수 있다. 때로는 디저트가 더욱 기대되는 만찬도 있듯 대구시립교향악단은 앙코르에 ‘진심인 편’이다. 쉐프가 자신 있게 내놓는 ‘오늘의 메뉴’처럼 말이다. 최근에 만난 한 지인은 대구시립교향악단의 다음 연주 때 앙코르는 어떤 곡일지 기대와 궁금증을 내비치기도 했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세상의 모든 음악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가 되기 위해서는 음악적 ‘다양성’에 기반한 풍부한 레퍼토리가 기본이다. 앙코르의 변신도 대구시립교향악단의 레퍼토리 확장, 연주력 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봐주시면 좋겠다.
-앞으로 대구시향 운영 방향은?
△음악가이자 지휘자로서 늘 추구하는 바는 이 세상의 모든 곡을 연주할 수 있는 오케스트라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취임 이후 우선 대구시립교향악단의 최근 10년간 연주한 곡목을 분석했고, 오케스트라의 실력 향상과 청중의 다양한 음악적 욕구까지 충족시킬 레퍼토리로 선정하고 있다. 대구시립교향악단은 앞으로도 다양한 시대, 다양한 음악가의 작품을 꾸준히 연주해 나갈 예정이다. 창단 60주년을 맞이한 지금, 거의 매 공연 매진을 기록할 정도로 시민의 큰 사랑을 받는 대구시립교향악단이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 대구의 위상에 걸맞게 내실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백진현 상임지휘자는?
현재 동서대 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계명대 음악대학, 맨해튼 음악대학원(MM), 브루클린 음악원(PG-D), 하트퍼드대 음악대학원(AD), 파이스턴 국립예술대학원(DMA)을 졸업했다.
미국, 러시아, 캐나다, 이탈리아, 스페인, 쿠바, 체코, 브라질, 페루, 카자흐스탄, 헝가리, 몽골, 루마니아, 멕시코, 중국, 일본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의 활발한 공연을 펼쳤다.
국내에서는 KBS교향악단, 코리안심포니, 부산시향, 광주시향, 충북도향, 창원시향, 포항시향, 강릉시향 등을 지휘했다.
‘제27회 오늘의 음악가상’, ‘제33회 부산음악상’, ‘2018 한국음악상’ 등을 수상했다.
/한상갑기자 arira6@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