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도 공공마이데이터 플랫폼 ‘모이소’디지털 행정 혁신 선도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4-06-24 15:56 게재일 2024-06-24
스크랩버튼
경북도가 24일 공공마이데이터 플랫폼 ‘모이소’의 2단계 구축 사업 완료보고회를 진행하고 있다./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24일 공공마이데이터 플랫폼 ‘모이소’의 2단계 구축 사업 완료보고회를 진행하고 있다./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사용자 맞춤형 디지털 행정서비스 구축에 속도를 높인다.

도는 24일 공공마이데이터 플랫폼 ‘모이소’의 2단계 구축 사업 완료보고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2월 운영을 시작한 ‘모이소’는 행정안전부가 제공하는 공공마이데이터를 활용해 도민이 스스로 행정정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행정서비스 플랫폼이다. 복잡한 절차 없이 모바일을 통해 쉽고 빠르게 행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신청할 수 있는 행정서비스는 농어민수당, 교복·입학 지원금, 아픈 아이 병원 진료 동행서비스, 임업인 원클릭 서비스, 소상공인 정책 사업 등이 있다. 현재까지 약 9만 6000명의 디지털 도민증이 발급됐다.

특히, 이번 2단계 사업으로 농어민수당 약 24만 건, 아픈 아이 병원 진료 동행 서비스(안동·구미·예천) 508건, 교복·입학 지원금(안동·예천·봉화) 약 120건이 ‘모이소’ 앱을 통해 신청·처리됐다.

도는 지난달부터 ‘소상공인관’ 서비스를 개시해 흩어진 소상공인 정책 및 금융지원 정보를 한곳에서 모아서 보고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도내 여행 정보 포털 ‘경북 나드리’와 농특산물 쇼핑몰 ‘사이소’를 연계하고, 다양한 분야별 도정 정책 정보를 한눈에 보기 쉽게 통합해 제공하고 있다.

경북도와 시·군 간 증빙서류 없는 ‘종이 없는 행정’을 공공마이데이터를 통해 절차를 간소화시키고 신청 대상 선정 및 관리를 실시간으로 지원하는 업무 자동화로 공무원 업무 부담을 줄여 행정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서비스를 향상해 도민 만족도 상승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매년 약 23만 건이 넘는 농어민수당 수작업 신청 처리 과정을 디지털화해 매년 약 19억1000만 원의 비용 절감 효과와 서류 발급비와 대중 교통비를 절약하는 등 도민들에게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제공한 것으로 분석했다.

오는 7월부터 시행할 3단계 사업에서는 기존 서비스 시·군 확대 및 고도화는 물론, 저출생 극복을 위한 돌봄 통합 정보 서비스와 경로당 행복 선생님 지원 서비스도 신규 개발하여 업무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더욱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이정우 메타버스과학국장은 “공공마이데이터 플랫폼 ‘모이소’가입자가 9만 6000 명을 넘어서며, 사용자 맞춤형 디지털 행정서비스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행정 혁신을 선도하고, 도민에게 더욱 편리하고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