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통계에 의하면, 4월 말 기준 대구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47만5318명으로 전체 인구(236만8670명)의 20.1%를 차지했다.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14.0%를 넘으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된다. 우리나라 도(道) 단위 비수도권 지자체들은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지 오래됐다. 비수도권 지자체의 고령화가 심각하다는 것은 그리 놀랄 일은 아니다. 이미 오래전에 UN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늙은 최고령 국가가 될 것이라는 경고를 했다.
노년층이 늘면 자연적 온갖 사회병리현상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대구시가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응하기 위해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본격 추진한다고는 하지만 얼마나 효과를 낼지는 의문이다. 가장 급한 게 노인간호와 일자리 문제다. 대구시가 실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에서도 노인 정책 현안 1, 2위로 ‘돌봄’(38.7%)과 ‘일자리’(38.3%)가 꼽혔다. 국가나 지자체 모두 이 문제해결을 위해 각종 정책(재가요양·돌봄, 재택의료서비스 확대,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 확대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노인문제는 점점 더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이제 대도시까지 늙어가면서 국가 전체적으로는 일할 연령층이 줄어 국민연금 재정이 바닥나는 것도 시간문제가 됐다.
이러한 사회적 재앙을 막으려면 출생률을 끌어올리는 방법밖에 없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주 TK 행정통합을 추진하기로 한 것도 인구소멸 문제 때문이다. 저출생, 지방소멸의 근본 원인인 수도권 일극주의를 막기 위해 시·도통합을 통해 국토를 다극체제로 재편하겠다는 생각이다. 인구의 지역분산을 유도하는 정부의 혁신적인 발상과 정책 없이는 지방소멸을 막을 수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