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1호 시범 교육발전특구 ‘대구·경북 8곳’

이창훈 기자 · 이곤영 기자 · 박형남 기자
등록일 2024-02-28 20:08 게재일 2024-02-29 2면
스크랩버튼
30억∼100억 재정 지원·규제 완화·특례 지정 혜택 ‘공교육 혁신’ 박차 <br/>3년간 시범운영하는 선도지역엔<br/>안동·예천·포항·구미·상주·울진<br/>관리지역에는 칠곡·봉화가 낙점<br/>K-인문교육·지역산업 연계시킨 <br/>광역형 안동·예천형 모델 ‘호평’<br/>9개 구·군 모두가 참여한 대구 <br/>늘봄 교육·IB·디지털 교육 혁신 <br/>자율형 공립고·특성화고 등 추진

대통령실이 28일 발표한 교육부 주관 ‘교육발전특구’시범지역에 경북은 안동시·예천군, 포항시, 구미시, 상주시, 칠곡군, 봉화군, 울진군 총 8개 시군이 지정됐다. 대구시 또한 전국 광역지자체 시범지역 6곳에 포함돼 선정됐다. <관련기사 8·9면>

전국에서 총 40건이 접수돼, 경북은 9개 시군이 신청해서 8개 시군이 지정되는 쾌거를 이루었다.

‘교육발전특구’시범지역은 선도지역과 관리지역으로 나누어지며 선도지역은 3년간 시범운영하고, 관리지역은 1년 단위로 평가를 통해 보다 강화된 성과관리의 지원을 받는다.

선도지역에는 안동·예천, 포항, 구미, 상주, 울진이 지정됐으며 관리지역에는 칠곡, 봉화가 지정됐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기업 등 지역기관들과 협력해 지역발전의 큰 틀에서 공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정책이다.

시군별 특구 모델을 살펴보면 광역유형은 △ 안동시·예천군의 K-인문교육과 지역산업 연계형 교육발전특구 모델이다.

기초유형은 △ 포항시의 첨단과학과 신산업을 견인할 창의융합형 인재양성 △ 구미시의 사람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교육도시 △ 상주시는 지역산업과 함께 성장하는 미래교육도시, K-상상주도 특구 △ 칠곡군의 미래세대를 위한 지역 맞춤형 공존·공감 교육 실현 △ 봉화군의 이주사회를 대비한 교육발전특구 △ 울진군의 원자력수소 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한 교육발전특구 모델이다.

특히 광역형 모델로 신청한 K-인문교육과 지역산업 연계형 경상북도 안동·예천 모델은 인문교육을 통한 안동·예천형 공교육 혁신모델 정립 전략을 바탕으로 한 인성교육 완전책임제 제시로 큰 호평을 받았고, 앞으로 K-인성교육을 세계적인 K-인문 콘텐츠로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특구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은 교육부에서 30억원에서 100억원의 재정지원과 교육관련 규제완화, 각종 특례 지정을 받는 등 공교육 혁신을 추진한다.

앞으로 교육부의 컨설팅을 통해 사업운영 계획을 구체화할 예정이며, 경북도 주관 협의체를 구성하여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과관리도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경북도와 경북교육청은 교육발전특구 지정을 위해 총력을 쏟았다.

경북도 행정부지사와 경북교육청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교육발전특구 TF 추진단을 공동 구성하고, 지난 1월에는 이철우 도지사와 임종식 교육감이 9개 시군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유형별로 경북도와 경북교육청이 시군 컨설팅을 실시하는 등 특구 지정에 심혈을 기울여 왔다.

이번에 지정된 경북도의 8개 시군은 지역의 특성에 맞는 비전과 지자체가 주도하는 교육 혁신안으로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 조성과 다양한 공교육 혁신 방안을 마련하고, 지역산업과 연계한 지역 인재양성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한 교육발전특구 모델을 만들어냈다.

임종식 교육감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지역들이 특구운영을 통해 돌봄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지역인재 양성 및 교육혁신으로 지역이 다시 살아나고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철우 도지사는 “지역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에 정주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해 경북이 주도하는 확실한 지방시대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1차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대구시는 3년 동안 시범운영 후 교육발전특구위원회의 평가를 거쳐 우선적으로 정식 특구로 지정된다.

이번 공모에 대구시는 교육청, 9개 구·군과 교육발전특구 운영을 위한 기획서를 같이 마련했다. 경북대학교·구청장·군수협의회·대구경영자총협회 등과 협력체 구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는 등 시범지역 지정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거쳐 지난 8일 대구시장과 교육감이 함께 신청하는 2유형으로 공모에 참여했다.

대구시 교육발전특구는 9개 모든 구·군의 참여로 완전한 상향식 교육정책 마련 및 지역 주민의 다양한 수요 맞춤형 정책 공급을 목표로 늘봄·영유아 교육지원, 국제인증 교육과정(IB, International Baccalaureate), 자율형 공립고, 협약형 특성화고, 디지털 교육 혁신, 중등·고등교육 연계 지역인력 양성의 6대 분야 중점 추진과제를 담았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대구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선정은 세계와 경쟁하는 열린도시 ‘대구 미래 50년’ 설계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역의 공교육 발전을 통한 지역 우수인재 양성과 지역 정주여건 개선으로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 균형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이창훈·이곤영·박형남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