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들이 17세기 초 울릉도의 인삼(산삼)과 약초를 캐기 위해 울릉도를 드나들며 독도에 대한 영토의 야심을 키웠다는 새로운 주장이 제기됐다.
김문길 한일문화연구소장은 24일 일본 어선들이 울릉도와 독도에 자주 왕래한 시기는 임진왜란 후이며 울릉도·독도에 입도한 일본어선 중 오다니신기치(大谷新吉)와 무라카와 이치혜이(村川市兵衛)란 자가 있었다는 내용이 담긴 17세기 초 일본 막부의 풍토기 사학자 다키시로우(多氣志樓)의 ‘독도잡기’(竹島 雜誌)를 일본 동경 국립공문서관 내각 문고 ‘죽도관계문서집성’에 수록된 것을 입수했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인삼은 일본의 금값보다 더 비싼 특약으로 사용했다고 설명하고 이번에 입수한 책에는 울릉도의 인삼, 소엽화(笑靨花), 각단목(桷檀木)을 비롯해 각종 희귀 약초가 소개돼 있다고 했다.
그는 임진왜란 전후 일본통신사들이나 사신들이 일본으로 들어갈 조선 인삼을 선물로 가져갔다면서 조선 인삼을 우익단체가 얻지 못해 살해당했을 만큼 조선 인삼은 유명했었다고 밝히고, 이번에 입수한 책에 기록된 울릉도에서 인삼이 자생했다는 내용은 지금까지 들어도, 본적도 없는 국내 첫 사료라고 평가했다.
또 책 기록을 놓고 보면 소엽화(일종 조선 벚꽃)가 울릉도에 많이 자생했던 것으로 보인다면서 당시 소엽화를 일본으로 캐간 것이 오늘날 일본 국화 사쿠라가 된 것이 아닌가 추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어느 일본시인은 사쿠라 중 사쿠라는 ‘하제 사쿠라(소엽화 : 울릉도벗꽃)’라는 시를 남겼다고 강조했다.
또한 각단목(桷檀木)은 불교에서 염주를 만들고 향로단(제단)을 만드는 재목인데, 일본은 지금도 울릉도 각단목으로 목걸이와 팔찌를 만든다고 설명했다.
어느 일본시인은 사쿠라중 사쿠라는 ‘하제 사쿠라(소엽화 : 울릉도벗꽃)’라는 시를 남겼다. 일본인이 좋아 하는 ‘하제 사쿠라’는 바로 울릉도 벚꽃이라는 것이다.
또는 각단목(桷檀木)은 불교에서 염주를 만들고 향로단(제단)을 만드는 재목이다. 일본은 지금도 울릉도 각단목으로 목걸이와 팔찌를 만든다고 김소장은 설명했다.
김 소장은 입수한 책에 등장하는 이오다니신기치(大谷新吉)와 무라카와 이치혜이(村川市兵衛)는 울릉도의 해산물과 약초, 인삼을 캐고자 항해 중에 독도를 알게 됐다면서 이들이 몰래 울릉도에 들어와 인삼, 벚꽃, 염주를 만드는 재료를 비롯해 울릉도 독도에만 서식했던 물개, 전복도 잡아 갔으며 전복은 삼보(三寶)로 취급돼 막부 장군과 중신들에게 선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뇌물을 통해 지난 1617년 5월 16일 울릉도 독도에 정식 출항하도록 허가까지 받았다고 부연하고 이를 근거로 일본은 지금 독도를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고 있다고 밝혔다.
‘竹島 雜誌’를 입수한 김문길 소장은 일본 교토대, 국립고베대에서 일본사 한일관계사를 전공해 박사 학위를 받았고, 부산 외대 교수를 퇴직한 뒤 현재 한일 문화연구소 소장으로 한일사를 연구하고 있다./김두한기자kimd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