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한 해가 저물고 있다. 한 해가 저무는 아쉬움과 새로운 한 해에 대한 설렘이 교차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언제부터인가 별 감정이 없는 연말이 반복되고 있다. 새해가 되어도 뭐 하나 달라진 일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평상시와 비슷하게 닥친 일을 처리하며 시간을 보내는 습관에 익숙해진 까닭이다. 올해도 비슷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 주말 넷플릭스에서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보았다. 영화는 대지진으로 모든 것이 무너진 서울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황궁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한파가 몰아닥치고 황궁 아파트로 외부 생존자들이 몰려들자, 입주민들은 회의를 통해 ‘영탁’을 대표로 선임하고 입주민들만 아파트에 살 수 있다는 규칙을 만들어, 외부 생존자를 모두 바깥으로 내쫓는다. 영화의 서사는 영탁을 중심으로 한 입주민의 단결과 이에 동의할 수 있는 ‘명화’라는 인물의 갈등이 주를 이룬다. 영화의 후반부에 그간 아파트 입주민을 대표했던 영탁이 입주민이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지며 아파트 사람들은 혼란스러워한다. 하지만 정확히 말해 영탁은 아파트 입주를 위해 돈을 보냈지만 사기를 당하고, 이를 해결하려고 아파트에 왔다가 지진을 겪게 된 것이다.
영화의 마지막에 외부 생존자의 습격으로 황궁 아파트를 간신히 탈출한 명화는 낯선 사람들의 도움으로 그들의 거주 구역으로 가게 된다. 하지만 그 사람들은 황궁 아파트 사람들과 달랐다. 그들은 그냥 살아도 되는 거냐는 명화의 물음에 그걸 왜 자신들에게 묻냐며 살고 싶으면 살라고 답한다. 그때 다른 사람이 명화에게 황궁 아파트 사람들이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소문이 있는데 사실이냐고 묻는다. 잠시 생각하던 명화는 “그냥 평범한 사람들이었어요”라고 말한다.
마지막 장면은 나의 이익을 위해서 타인을 배척하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은 괴물이 아니라 평범한 우리의 모습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영화에서 황궁 아파트는 복도식 구조를 가진 낡은 아파트로 묘사된다. 주변의 아파트로부터 차별 받아왔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으며, 입주민들도 이 점을 떠올리며 자신들이 이제 대한민국 최고의 아파트에 살게 되었다는 자부심을 드러낸다. 차별을 받아온 사람이 위계의 기준을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되돌려 주는 장면은 그들에게 차별과 위계의 정서가 얼마나 깊게 자리 잡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영화는 바로 이러한 마음이 문제라는 사실을 전한다.
2023년 새해 첫 칼럼에서 나는 조세희 작가를 애도하며 “모든 것을 수치화하고 비교하는 우리의 마음을 새해에는 조금 더 들여다보고 개선할 방법을 찾아야겠다”라고 썼다. 1년이 지난 지금, 2023년 새해 다짐을 얼마나 지켰는지를 돌이켜보면 부끄럽지만 제대로 지키지 못했다고 말해야겠다. 노력을 아예 안 한 것은 아니지만, 나 역시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다는 이유로 현실을 외면하며 나의 이익을 취했다.
새해에는 그냥 평범한 사람이 되지 않기를 다시 소망한다. 그래서 1년 뒤 오늘, 지난 한 해를 특별한 마음으로 되돌아볼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