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당후사’ 에 고민 깊어질 듯
친윤(친윤석열) 핵심인 국민의힘 3선 장제원 의원이 12일 내년 총선 불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인요한 혁신위원회의 ‘주류 희생’ 요구에 화답한 첫 사례다. 대구·경북(TK) 의원들은 장 의원을 시작으로 촉발된 불출마 선언의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기현 대표 및 당 지도부에 대한 추가 불출마 요구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TK지역으로 불똥이 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장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2대 총선에 출마하지 않고, 역사의 뒤편에서 국민의힘 총선 승리를 응원하겠다”고 말했다.
장 의원은 “또 한번 백의종군의 길을 간다. 윤석열 정부의 성공보다 절박한 것이 어디 있겠느냐. 총선 승리가 윤석열 정부 성공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라며 “제가 가진 마지막 공직인 국회의원직을 내어놓는다. 또 한 번 백의 종군의 길을 가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버려짐이 아니라 뿌려짐이라고 믿는다”며 “부족하지만 저를 밟고 총선 승리를 통해 윤석열 정부를 성공시켜 주시길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이후 기자들과 만난 장 의원은 불출마 결심을 묻는 질문에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이 되는 순간부터 모든 각오는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며 “운명적인 거라고 본다”고 답변했다.
‘총선 위기감이 크다고 느껴서 불출마 선언을 한 것이냐’는 질문엔 “어쨌든 윤석열 정부의 성공은 가장 절박한 문제이고, 그러기 위해선 총선 승리가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라며 “제가 가지고 있는 하나 남은 것이라도 다 내어놓아야 한다는 마음이다. 제가 당선인 비서실장이 되는 순간부터 모든 각오는 해야 되는 것이다. 운명적인 것이라고 본다”고 했다.
본인의 불출마 선언이 김기현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 인사나 중진들에게 여파를 미칠 것으로 전망하냐는 질문엔 “제가 결정할 문제가 아니라 답하기 적절치 않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사전에 상의를 했냐는 질문에도 답하지 않았다.
그동안 인요한 혁신위의 불출마 또는 험지 출마 혁신안이 발표된 후에도 장 의원은 지역구인 부산 사상구에 출마하겠다는 뜻을 밝혀왔다. 그러나 혁신위 조기 해산과 혁신안에 대한 당내 의원들의 무응답 등으로 여론이 악화되면서 백의종군을 선언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지역 정치권 한 관계자는 “장 의원의 갑작스러운 불출마 선언은 대통령실과 교감이 있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며 “장 의원의 불출마가 TK정치권에도 불똥이 튈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어 “김기현 대표 등 당 지도부에 대한 불출마 요구는 물론 TK친윤계 인사, 중진 의원들에 대한 불출마 요구도 커질 것”이라며 “친윤 핵심인 장 의원이 불출마 선언을 함에 따라 TK친윤·당 지도부, 중진 의원 등이 그의 선당후사 행보를 무시할 수 없는 만큼, 일부 TK의원들에 대한 불출마 압박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실제 당 안팎에서는 장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사퇴론에 휩싸인 김 대표의 결단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 대표가 이날 예정됐던 연탄 나눔 봉사활동 일정 등을 취소하고 숙고에 들어간 만큼, 조만간 불출마를 선언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TK지역 내 3선 이상인 주호영(대구 수성갑), 윤재옥(대구 달서을), 김상훈(대구 서) 의원, 그리고 TK지역에서 친윤계를 자처했던 의원들도 수도권 출마론 또는 불출마 요구에 자유로울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