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글로컬 시대,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등록일 2023-11-21 18:23 게재일 2023-11-22 18면
스크랩버튼
최병구 경상국립대 교수
최병구 경상국립대 교수

문학 교육의 목적은 학생들의 리터러시(Literacy)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다. 읽고 쓰는 능력이란 정의가 보여주듯 리터러시는 ‘문자문화’ 시대의 산물이며, 그런 만큼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는 그 수명이 다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전국적으로 ‘국어국문학과’의 간판이 사라지고 쇼츠(Shots) 문화가 대세가 된 지금, 리터러시는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리터러시는 텍스트를 깊이 읽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문학과 영화, 더 나아가 ‘삶’이란 텍스트의 현상이 아니라 그 이면을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뜻하는 것이다. 현상의 이면을 읽는다는 것은 어떤 의미이며 그 필요성은 무엇일까. 잊을 만하면 화제가 되는 20대 문해력 논란을 생각해 보자. ‘심심한 사과’ ‘사흘’ 등 한자어를 모르는 20대의 어휘력을 비판하는 것보다 중요한 점은 그런 현상이 생겨나는 원인을 진단하는 것이다. 제대로 원인을 파악해야 올바른 해결책이 나올 수 있다는 사실은 자명한 것이다.

최근 수업 시간에 김애란 작가의 단편소설 ‘큐티클’을 읽었다. 이 소설은 이제 막 취업을 한 20대 여성 주인공이 그간 사치로 여겼던 소비 행위를 통해 만족감을 느끼는 과정을 담아낸다. 그렇지만 그녀의 소비는 네일아트를 받거나 유기농 음식을 구매하는 등 평범한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행위일 뿐이다.

이 소설을 읽은 학생들의 반응은 좀 더 비싼 제품을 향한 욕망을 표현하는 주인공에 대한 적당한 비판과 ‘합리적 소비’를 강조하는 것으로 귀결됐다. 주인공 여성과 나를 분리하는 시각도 굳건했다. 소설 속 주인공이 소비 행위를 통해서 자기 위안을 삼고자 했던 이유를 질문하는 것이 어려웠던 까닭이다.

여기서 핵심은 학생들이 어떤 현상이 생겨나는 구조를 질문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이유를 파악하는 일이다. 소비 자본주의가 일상이 된 시대에 그 구조를 질문할 여력이 되지 않는 현실과 질문에 익숙하지 않은 대한민국의 교육 시스템 등 여러 가지 원인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 이르면 논의는 문학이란 범위를 넘어서는 간학제적인 일이 된다.

‘글로컬 대학 30’ 사업의 지원을 받는 10개 대학이 발표되었다. ‘글로컬 대학 30’ 사업은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 대학의 위기를 해결하려는 목적으로 대학과 지방 정부, 그리고 지역의 산업체가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지역에 밀착한 인재 양성을 추구한다. 우리 대학은 ‘우주항공 방산분야 선도대학’을 비전으로 제시하여 10개 대학에 포함되었다. 이제까지 지적된 많은 문제점을 넘어서 지역에 정주하는 20대를 만드는 사업이 되길 기원한다.

이를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 학생들의 리터러시 능력을 키우는 일이다. 일자리를 창출하는 지역 산업의 육성과 함께 대한민국의 위계화된 구조를 상대할 수 있는 인식력을 갖춘 인재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사업이 끝난 5년 뒤에 지역은 더욱 황폐해질 가능성이 높다. 지역의 위기라는 현상이 아니라 그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일상의 발견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