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기원을 찾아, 세월을 거슬러 올라 가 보자. 현대 과학은 ‘지구는 46억년 전에 생성됐고 생명체는 38억년 전에 탄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 후 지구에서 모든 생물체들이 얽히고 섥키며 살아 오면서, 그 억겁의 세월을 관통하는 대원칙은 ‘생존 경쟁’이었다. 그 생존 경쟁을 자세히 풀어 설명한 것이, 다윈이 1859년 ‘종의 기원’에서 제시한 ‘자연선택설’이다.
‘변화 무쌍한 자연 환경에 적응한 생물은 생존과 번식에 성공하지만, 그렇지 못한 생물은 도태 돼 사라진다’는 것.
4억6천만년 전 생존의 필요성에 따라 어류가 육지로 올라 온 후 양서류와 파충류로 진화했다.
공룡은 2억6천만년전에 출현했다가 6천5백만년전에 멸종한다.
거대 운석 충돌이나 기후 변화, 화산 폭발 등이 멸종 이유로 거론되지만 결국 공룡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것.
인류는 600만년전 침팬지·고릴라 등 유인원과 분기 되면서 등장한다. 이 대목에서, 원시인이 공룡을 피해 달아나는 헐리웃 영화가 ‘엉터리’임을 확인하고 실소를 금할 수 없다.
반면 현대과학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인간과 침팬지 유전자 98.4% 일치’를 증명했다.
불과 유전자 1.6% 차이가 직립 보행과 뇌 크기, 언어 능력, 골반 헝태, 독특한 성생활 등 엄청난 차이를 결정하는 것.
진화생물학자들은 “해부학적으로, 침팬지는 원숭이 보다 인간과 더 가깝다.”라며 “혈액의 헤모글로빈 단위 숫자까지 287개로 똑같을 정도.”라고 밝히고 있다.
혹자는 “1970년대 유명 영화 ‘혹성탈출’처럼 만약 침팬지가 ‘만물의 영장’이 됐다면 요즘 사람이 동물원에 갇혀 있을 것”이라는 역발상적 시각도 내놓는다.
인류는 아프리카에서 진화를 거듭한다.
400만년전 뒷발을 딛고 서서 걷기 시작 하면서 두손을 사용한다.
200만년전을 전후해 석기를 사용하는 호모 하빌리스(솜씨 있는 사람)가, 170만년 전에는 호모에렉투스(직립인간)가 출현한다.
이후 네안데르탈인이 나타나고 30만년전 드디어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슬기로운 사람)가 등장한다.
이 대목에서 고고인류학자들은 ‘인류들이 2차례 치열한 생존투쟁을 벌였다’고 추정하고 있다.
300만년전 초식성 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로우버스투스가 출현했으나 120만년전 쯤 멸종해 버렸다.
이에 ‘큰 뇌와 도구를 사용했던 잡식성 호모 에렉투스가, 초식성 인류들을 먹잇감으로 사냥해 멸종 시켰다’고 보고 있다.
또 40만여년전 서남유럽 등지에서 살았던 네안데르탈인 역시 3만년전 갑자기 사라져 버린다.
‘상대적으로 지능이 높고 무리의 수가 많았던 호모 사피엔스가 네안데르탈인들을 사냥해 멸종 시켰다’고 추정한다.
현생 인류가 ‘전쟁을 즐기는 징후’가 이때 표면화된 것 아닌가 싶다.
동시에 ‘인류와 동물간 생존 경쟁’도 벌어진다.
인류는 처음에 맹수들을 피해 나무 위에서 생활했으나 나무 아래로 내려 오면서 직립 보행을 시작한다.
이어 수백만년 동안 소형동물이나 열매 채집으로 연명했다.
당시 석기는 조잡해 멧돼지나 코끼리 등 대형 동물 사냥은 불가능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호모 사피엔스의 사냥 도구 역시 100만년 전이나 별 차이 없었다.
그러나 4만년전 현생인류 크로마늉인은 화살촉과 창, 작살 등을 사용하면서 대형 동물 사냥이 가능해졌다.
이는 기술과 조직력 등을 갖추면서 확고한 포식자로 자리매김 했다는 얘기다.
흥미로운 대목은 인류가 호주 대륙에는 5만년전, 아메리카에는 1만5천년전에 진출했는데 얼마 뒤 양 대륙의 대형동물들이 사냥으로 모두 멸종했다는 사실이다.
또 3만년전 늑대가 인간의 가축인 개로 진화하면서, 현재 ‘개가 지구상 동물 가운데 생존 경쟁의 대표적 성공 사례’라는 시각도 있다.
지구 생명체의 역사는 잔인하고 처참한 생존 경쟁이었다.
그중 사람만이 유일하게 그 이기적인 본성을, 문화와 교육 등으로 갈무리한 존재다.
미래에도 인본주의가 인류 최고 가치로 존중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