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9가구 규모 더메트로줌파크 공사, 하도급업체 대금 밀리며 중단<br/>미분양관리지역 재지정된 경주, ‘건설경기 회복’ 악영향 우려 커져
최근 대창기업이 법정관리 신청에 들어가면서 신경주역세권 개발 사업 전체가 연쇄적인 파장과 입주 지연 등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돼 경주시가 사태 파악에 나섰다.
12일 경주시에 따르면 신경주역세권 신도시 개발사업에 대창기업을 비롯해 태영건설, 반도건설, 새천년종합건설, 호반주택 등이 건천읍 화천리 일원에서 상업시설을 포함한 6천300세대 아파트 조성을 추진 중이다.
이 가운데 아파트 브랜드 ‘줌’(ZOOM)으로 널리 알려진 중견 건설사 대창기업이 지난 7일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창기업은 이곳에 549가구 규모 신경주역더메트로줌파크를 짓고 있다. 입주 예정일은 2025년 1월이다. 지난해 2월 입주자 모집을 시작해 현재 37%의 분양률을 보이고 있으며, 지난 2월 기준 미분양 세대수는 346세대로 파악되고 있다. 공정 진행률은 25% 정도로 1~5층 골조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 공사 현장은 지난 10일부터 멈춰진 상태다. 골조공사를 맡은 하도급 업체가 두 달째 공사대금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대창기업의 법정관리 신청 소식이 들리자 공사를 중단한 것이다.
특히 대창기업은 지난해부터 공사 미수금과 유동부채가 크게 늘면서 재무 건전성이 크게 악화한 것 으로 파악되고 있다. 법원은 대창기업이 제출한 보전처분 신청서와 포괄적 금지명령 신청서 등을 검토한 뒤 이를 받아들일지 결정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경주시 관계자는 “사업 시행자인 신탁사에서 공사대금을 직접 지급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재 사업 시행자인 하나자산신탁사(2021년 12월 대창기업에서 변경)가 시공사 변경을 통해 공사를 재개할 것으로 알려왔다”고 말했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하나자산신탁은 자산관리 역할만 할 뿐이지 실질적인 분양계약이행 의무는 대창기업(신탁계약의 시행위탁자)에게 있다”며 “시공사의 존속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하도급 업체들이 공사를 이어간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 아니냐”며 우려를 나타냈다.
한편, 경주시는 지난 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제75차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재지정 됐다.
미분양 관리지역은 미분양 주택 수가 1천가구 이상이면서 공동주택 재고 수 대비 미분양 가구 수가 2% 이상인 시·군·구 중 미분양 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등 3가지 선정 기준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면 지정된다.
2월 기준 경주시의 미분양은 빅데이터 기반 아파트 정보사이트 부동산지인 조사에 따르면 1천460가구이며, 이 가운데 신경주역세권 관련 미분양은 542가구(신경주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B4·B5블록 196가구, 신경주역더메트로줌파크 346가구)로 집계되고 있다.
경주/황성호기자 hs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