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갑자 중 서른두 번째에 해당하는 을미(乙未)다. 천간(天干)의 을목(乙木)은 화초나 풀을 뜻하며, 지지(地支)의 미토(未土)는 메마르고 열기가 많은 땅이다. 동물로는 양순한 양이다.
을미일주는 물상으로 ‘사막의 선인장’이다. 생명력 강한 화초가 건조한 땅에 놓인 형국이다. 내면에 강한 힘을 갖고 있지만, 발현이 쉽지가 않다. 삶에 고난이 많지만, 외유내강형이다.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끈기와 예리한 촉이다. 부드러운 듯 보이지만 예리한 촉으로 상황을 판단하고, 강한 끈기와 집념으로 원하는 것을 이루어내는 힘을 가지고 있다.
안으로는 재물을 만드는 능력 또는 융통성, 지적 호기심과 남을 설득하는 능력, 자신의 뜻을 현실적으로 풀어가는 돌파력이 돋보이는 일주다. 대체로 자유롭고 씀씀이가 크다는 특징이 있다. 의외로 돈을 잘 모으지만 지출이 크지 않은 편이다.
을미(乙未)의 미토(未土) 양(羊)은 순(純)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산양처럼 아주 살벌하다. 절벽에 살고 다리는 짧지만, 싸울 때는 목숨을 걸고 죽을때까지 싸운다. 마음이 급해서 성질이 나면 앞뒤도 보지 않고 누구 말도 듣지 않는다. 그러면 안 되는데도 큰일을 앞두고 대사를 그르친 민비(1895년 을미사변)처럼 자신도 주변도 모두 망가진다. 결국 인화(人和)의 중요성이 새삼 부각된다.
중국 명나라 육작(陸灼)이 지은 애자후어(艾子後語)에 나오는 이야기다. 애자(艾子)는 뜰 안에다 양을 기르고 있었다. 양은 들이받기를 좋아했다. 사람이 나타나면 쫓아가서 뿔로 받곤 하였다. 애자의 제자들은 여간 걱정이 아니었다. 어느 날 제자들이 애자를 찾아가서 “선생님의 양들은 모두 수놈이라서 거칠고 사납습니다. 저희들이 양들을 거세하고자 하니 허락하여 주십시오. 그러면 성질이 온순해질 것 같습니다”라고 청하였다. 그 말을 듣던 애자가 웃으면서 말했다. “자네들은 아직 잘 모르는군. 임금을 모시는 사람들을 보게. 모두 거세를 당하여 사나이의 성(性)을 갖지 않았지만, 사나이들보다 훨씬 더 거칠고 사납지 않는가?” 명대 환관들의 정치참여를 비판한 것이다. 힘없는 양이지만 권력이 생기면 재물이 들어와서 본분을 망각하여 쉽게 망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을미의 특성은 인간관계에서도 낯을 많이 가리는 터라 마음이 잘 맞는 소수의 사람들과 어울리고, 의견이나 성향이 다른 사람들은 밀어내는 특성도 있다. 이런 기운에 사로잡힐 때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세속적인 욕망과 삶의 원칙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지혜가 필요할 듯하다.
을미일주에는 백호살이 있다. 백호살이란 과거 호랑이가 불시에 민가로 내려와 사람의 목숨을 위협했던 것처럼 예측할 수 없는 사고의 기운을 뜻한다. 백호는 한 마디로 강한 것을 다루는 재능이 있어 험한 세상에 잘 대처할 수 있는 힘을 내재하고 있다. 능력이 비범하여 자신의 능력을 배로 발휘할 수 있기에 부자들이 많이 가지고 있는 살 중의 하나다.
부부 사이의 금슬도 좋지 않고 배우자 건강 또는 부모형제의 신변에 이상이 생기므로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질병과 사고 등 신변에 이상이 생길 경우 단순하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중대한 사고와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 현대사회에서는 특히 교통사고다. 한 해에 교통사고로 사망하거나 부상당하는 숫자가 2백만 명에 이른다. 교통사고로 인한 죽음은 주변 사람들을 고통의 늪에 빠지게 한다.
프랑스 소설가 알베르 카뮈(1913∼1960)는 1960년 1월 4일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 몽드비에서 가난한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노동자였던 아버지는 1차 세계대전에서 전사했다. 청각장애인 어머니와 가난 속에서 자랐다. 하층민에 속한 아이는 초등교육을 졸업 한 뒤 곧바로 노동자가 되는 것이 그 당시 정해진 진로였다.
그렇지만 초등학교 교사 루이 제르맹은 가난했지만 지적 탐구에 강한 호기심을 보인 카뮈를 발탁해 중학교 장학생시험을 치를 기회를 주었다. 카뮈는 당당하게 장학생이 되었다. 그리고 문학과 철학에서 그의 재능을 깨닫게 해 준 장 그르니에 교수를 만났다. 그러한 주변의 도움으로 성장하여 1957년 44세 젊은 나이에 소설<이방인>으로 노벨문학상 수상했다. 그는 수상 연설을 루이 제르맹 선생에게 헌사했다.
17세 때는 결핵으로 학업도 중단하고, 부조리라고 부르는 비극적인 감정을 가지고 필사적으로 살고자 갈망하였다. 카뮈는 삶의 부조리란 선한 일에는 선한 결과를 얻고, 악한 일에는 악한 결과를 얻는다는 합리적 관점이 적용되지 않는 세계와 그 세계를 향해 합리적인 이해를 얻고자 애를 쓰는 인간 사이에 놓여 있는 거대한 수수께끼 같은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면서 이해할 수 없지만 인간과 세계 사이에 분명히 자리 잡고 있는 부조리를 평생 탐구했다.
1960년 1월 4일, 휴가를 마친 그는 기차로 파리로 갈 계획이었다. 때마침 출판사를 운영하는 친구 갈리마르가 자기 차로 가자고 제안했다. 동승하여 고속도로를 달리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47세 나이에 죽은 것도 어떤 필연에 의한 것인지를 설명하기란 쉽지 않다. 차 속에서 이해할 수 없는 죽음, 그러니까 부조리한 죽음을 맞이하는 것으로 생을 마친다. 그는 생전에 “자동차 사고로 죽는 것만큼 부조리한 것은 없다”고 말했는데 그것이 현실이 되어버렸다.
노자 도덕경 5장에 ‘천지불인(天地不仁) 이만물위추구(以萬物爲芻狗)’라는 구절이 있다. 천지는 어질지 않아서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강아지와 같이 여긴다. 자연은 스스로 정해진 법칙에 따라 운행할 뿐이다. 우리가 사는 세계에는 무관심한 것이다.
인간의 합리적 물음에 대답하지 않는 세계, 그러한 세계를 상대로 부조리한 감정을 느끼는 인간은 한마디로 부조리를 느끼는 인간인 것이지 인간이 부조리한 것은 아니다. 카뮈는 부조리란 피하거나 극복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하고 정면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