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안동대, 사업 구축기에서 강화기로 전환<br/>사업단 5개 센터, 46억 들여 취·창업 사업 시행 등
[안동] 안동시와 안동대학교가 올해 안동형 일자리사업의 본격 시행에 들어갔다.
2일 안동시에 따르면 지난 2년간의 구축기를 지나 올해부터 사업 강화기로 전환하고, 사업단 내 5개 센터에서는 총 46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각종 취·창업 사업을 시행하며 AI, 바이오, 헴프 등 특화 산업과 연계한 기술 연구 개발을 지원한다.
먼저 창업커뮤니티센터는 예비창업자 및 창업 7년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당 최대 6천만 원의 창업활동비를 지원하고, 지역 기업 대상 인턴십을 통해 1인당 최대 150만 원을 지원해 청년들이 연계 채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특히, 오는 11월 전국 예비창업자,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전국 단위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해 창업인들의 눈높이에 맞는 지원 프로그램 및 스타트업기업의 성장과 역량 강화의 기회를 제공한다.
AI융합교육센터는 지역산업연계 AI융합 교육사업(고교 및 대학)과 지역특화산업 고도화와 AI중소기업 유치 및 육성을 위한 AI융합 교육케어(CaRe)사업을 추진, 지역 청년들이 해당 산업의 이해도를 높이고 AI융합형 지역산업 맞춤 인력을 양성한다.
스마트팜 농식품소재센터는 신규 이전 기업과 ICT 및 IoT 혁신 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팜 기업혁신 R&BD 지원사업을 추진, 인턴십과 신규 일자리 창출 및 고용 안정을 꾀한다. 또한 대마 부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 및 고부가제품화 지원사업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헴프 산업 활성화, 바이오 헬스 산업 혁신성장의 토대를 마련한다.
바이오·백신센터에서는 백신융합 플랫폼 기술개발 및 산업화 지원사업, 경북백신클러스터 R&BD 활성화 사업, 친환경소재 기술개발 및 상용화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모두 연차사업(2~3년)으로 국가 연구개발과제 대응 또는 기업 연구개발과제로 편성해 백신 및 친환경소재 기업 및 일자리를 확대하고, R&BD 역량을 강화한다.
문화·관광센터에서는 관광콘텐츠 기획자 인력양성, 관광 인재 정착화를 위한 로컬 관광콘텐츠 기획자 양성 교육 지원사업과 로컬투어 전문 인력 양성지원사업을 추진, 관광 산업 연계 일자리를 창출한다. 여기에 가톨릭상지대, 안동과학대 산학협력단, 경북콘텐츠진흥원 등 기관들과 협업해 드론, 백신, ICT, 문화콘텐츠 등 지역 특화 산업과 연계한 일자리 사업도 추진한다.
권기창 시장은 “향후 안동형 일자리사업은 관광거점도시 사업, 국가 산업단지 후보지 선정 등과 발맞춰 지역의 굵직한 현안 사업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인력 유치 및 양성과 산업 기반 마련에 중점을 두고 추진할 계획”이라며 “최근 지방 균형 발전의 핵심축이 지역 대학의 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있는 만큼 선도적인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