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비콘태그 없는 의료폐기물 배출 468곳 달해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3-03-01 20:23 게재일 2023-03-02 4면
스크랩버튼
4월부터 배출방식 바뀌지만<br/>구매 완료 3천668곳 ‘88.3%’<br/>10곳 중 1곳 없어 ‘준비 미흡’<br/>   
오는 4월부터 의료폐기물 배출장소에 고정식 ‘비콘(Beacon)태그’를 설치해 배출자 카드를 대신하게 하는 등 의료폐기물 배출 방식이 바뀌지만 경북도내 ‘비콘태그’ 구입률은 88.3%에 머물러 468곳이 아직 ‘비콘태그’를 구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일 환경부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에게 제출한 ‘전국 의료폐기물 사업장 현황’을 살펴보면 경북도내 의료폐기물 배출자 수는 총 4천174곳이었으며, 이중 ‘비콘태그’ 구매 대상자는 총 4천156곳, 구매 완료자는 3천668곳으로, 구매율은 88.3%였다. 이는 의료폐기물 배출 사업장 10곳 중, 1곳 이상이 아직 ‘비콘테그’를 구매하지 않은 것으로 총 468곳이 준비가 미흡한 상황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환경부의 방침대로 현장에서 정책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아직 ‘비콘태그’를 구매하지 않은 병원 등을 대상으로 따로 우편을 보내는 등 구매를 독려해 현장에서 차질 없이 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의료폐기물 배출 사업장들이 ‘비콘태그’를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의료폐기물 배출 절차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지난 2008년부터 현재까지 병·의원과 의료폐기물 운반·수거업자가 의료폐기물을 주고받을 때 전자태그(RFID)를 이용하게끔 했다. 이는 병원 측이 의료폐기물을 용기에 담은 뒤 전자태그를 붙여 배출장소에 내놓으면 운반·수거업자가 가지고 다니는 휴대용 리더기로 용기 전자태그와 병원마다 발급되는 ‘배출자 카드’를 인식하는 식으로 폐기물 인수인계가 이뤄지는 방식이다.

하지만 일부 병원과 폐기물 운반·수거업자가 병원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배출자 카드를 자신들이 가지고 있으면서 정해진 시기나 장소를 지키지 않고 폐기물을 인계받아 감염 등의 위험이 있는 의료폐기물이 엄격히 관리돼야 한다는 문제가 불거졌다.

이에 의료폐기물 인수인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자 도입된 방안이 ‘비콘태그’ 설치다. 병원의 의료폐기물 배출장소에 고정식 ‘비콘태그’를 설치해 배출자 카드를 대신하게 함으로써 운반·수거업자가 반드시 정해진 시간과 장소에서 폐기물을 받아 가도록 하겠다는 것이 행안부의 방침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