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 이차전지-구미 반도체’ 국가 특화단지 지정 신청

김락현 기자
등록일 2023-02-27 20:05 게재일 2023-02-28 1면
스크랩버튼
경북도와 함께 산자부에 제출<br/>포항시, 영일만·블루밸리산단 연결 양극재 생산 전진기지 육성<br/>구미시, 50년 노하우 소재·부품 공급기지로 ‘반도체 초격차’ 달성

포항시와 구미시가 경상북도와 함께 2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지역 핵심미래산업으로 육성할 이차전지와 반도체특화단지 지정신청서와 육성계획서를 각각제출했다.

정부는 이차전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전략산업의 국가경쟁력과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특별법’을 지난해 8월 시행하고 국가 차원의 산업 육성과 보호를 위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포항시는 이차전지 분야 단지형 공모에 참여하고 영일만산단과 블루밸리국가산단을 연결해 대한민국 양극재 생산 전진기지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기반시설 구축 및 세제 감면, 인허가·인프라 등 패키지 투자, 연구개발(R&D) 등 전략산업의 혁신발전과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포항시는 지난 2019년 배터리규제자유특구로 지정 후 3년 연속 우수 특구로 선정된 성과, 4조원 규모의 선도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 투자유치 실적, 1천억 원대의 이차전지 실증 국책과제 추진 등 강점을 내세워 특화단지 최적지로서 당위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특히, 지역의 우수한 연구 인프라와 영일만항을 중심으로 한 사통팔달의 교통입지로 이차전지 생산거점으로 높은 성장 가능성을 강조하고 원료에서 양극재까지 생산하는 전주기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이차전지 초격차 확보와 공급망 안정에 기여하는 지역단위 거점 클러스터로 도약하는 발전가능성도 제시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은 철강으로 대한민국 산업발전을 선도한 경험과 경쟁력을 갖춘 이차전지 특화단지 최적화 도시”라며 “특화단지 지정으로 포스코와 같은 글로벌 기업을 다시 만들어내는 새로운 역사를 만들고 기업을 모으는 혁신 허브 역할을 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미시는 수도권 반도체 소자기업 및 전방 수요산업에 반도체 소재·부품을 공급하는 생태계 완성형 핵심 소재·부품 특화단지를 구축해 반도체 초격차 달성을 위한 공급기지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계획을 강점으로 반도체 특화단지 신청을 했다.

구미시는 SK실트론(웨이퍼), LG이노텍(반도체기판), 원익큐엔씨(쿼츠웨어), KEC(전력반도체칩), 매그나칩반도체(DDIC), 월덱스(실리콘파츠), 엘비루셈(DDIC패키징), 삼성SDI(패키징소재) 등 반도체 소재부품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선도기업과 협력기업의 밸류체인 강화를 통해 관련산업을 집중육성하고 특화단지 내 선순환 구조를 구축해 반도체 소재·부품 사업의 자립화 및 경쟁력를 강화한다는 구상다.

구미시는 지난 50년간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고, 반도체산업 핵심 요소인 산업단지 부지, 풍부한 공업용수, 안정적인 전력을 갖추고 있어 신속한 대규모 투자가 가능하고 앞으로 개항 할 대구경북 신공항과 10㎞ 거리로 물류경쟁력도 확보하고 있어 반도체 특화단지를 위한 모든 인프라가 준비돼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 특화단지 인력 확보를 위해 10년간 전문인력 2만명 양성 계획을 수립하고, ‘경북구미 반도체산업 육성지원 업무협약’체결을 통해 산학연관이 함께 참여해 정부의 반도체 인력 10년간 15만명 양성전략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김장호 구미시장은 “최근 SK실트론을 비롯한 반도체 관련 대기업의 잇단 투자는 구미의 투자 환경을 방증하는 결과”라며 “구미시는 기반시설, 관련기업의 집적화, 지역 주력산업과의 연계성 등 특화단지 조건을 이미 갖추고 있어 반도체 산업 초격차 달성을 위한 신속한 성과도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