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된 가뭄·갈수기 영향<br/>수면 위 모습 드러낸 ‘세월교’<br/>3~4개월 통행, 새로운 풍광 눈길
그러나 지난해 가뭄과 올해 갈수기가 이어지면서 수면 위로 모습을 드러내 앞으로 3~4개월 정도 통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공승오 도산서원관리사무소장은 “모처럼 세월교가 물 밖으로 나와 통행이 가능해 졌다. 시사단에 올라 시사단 비석과 비각을 감상하고 건너 편에 있는 도산서원의 고즈넉한 풍광을 느껴보시길 바란다”며 “시사단 계단은 매우 가파르고 위험하오니 안전에 유의하셔야한다”고 전했다.
1792년 ‘정조’는 ‘퇴계 선생’의 학덕과 유업을 기념하기 위해 ‘이조판서 이만수’에게 ‘도산별과’를 새로 만들어 지방의 인재를 선발하게 했다.
이런 과거시험을 기념하기 위해 1796년 ‘영의정 채제공’의 글로 비문을 새기고 ‘시사단’을 세웠다. 그 뒤 1824년에 고쳐 세웠으며, 1974년 안동댐 건설로 물속에 잠기게 될 운명에 처하자 지금의 위치에서 지상 10m의 축대를 쌓아 그 위로 비각과 비를 옮겼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