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택시요금 700원 인상<br/>경북은 500~1천원 오를 듯<br/>한숨소리 커지는 시민들<br/>“교통비까지 오르니 죽을 맛”
서민들의 중요 교통수단인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전국 곳곳에 예고된 가운데, 대구·경북 지역의 대중교통 요금 인상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난방비 폭탄뿐만 아니라 전기요금, 가스비에다가 교통비까지 공공요금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시민들의 한숨이 늘어나고 있다.
1일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따르면 기본요금은 늘어나고 주행·시간요금 기준은 짧아지면서 택시 미터기 요금이 올라가는 속도가 한층 더 빨라지고 있다.
인건비, LPG 가격 등 누적 물가 상승으로 인해 높아진 운송 원가 등으로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하지만 택시를 비롯해 버스, 지하철 요금마저 일제히 오를 기세를 보이자 서민들은 “월급의 배로 물가가 오르니 앞으로는 걸어 다녀야 하냐”고 푸념하고 있다.
택시요금은 지자체별로 운영돼 지역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현재 인상을 발표한 지자체는 대구·울산시(700원 인상), 강원도(500원 인상), 서울시(1천원 인상)다.
이 외에도 경북도를 포함한 17개 도·시 대부분이 올해 상반기 중 최소 500원∼최대 1천원 이상의 택시요금 인상을 검토할 계획이다.
대구의 중형택시 요금은 전년도 대비 기본요금은 700원 상승한 4천원, 주행요금은 4m 짧아진 130m당 100원 측정, 시간요금(15㎞/h이하 주행 시 100원)은 31초로 1초 줄어들었다.
심야시간에는 부담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추가요금 측정률이 심야(오후 11시∼오전 4시) 20%, 심야 사업구역 외 30%, 중복할증 40% 등으로 확대됐기 때문이다. 경북에서 중형택시요금을 인상할 경우에는 종전 2천800원에서 조정 후 3천300원으로 500원 인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직장인 고모(34·포항시 남구 인덕동) 씨는 “코로나19 방역이 조금씩 해제되면서 회식이나 모임이 잦아져 자주 택시를 이용하는데 기본요금이 오르면 확실히 부담될 것 같다”며 “차라리 대리를 부르는 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가뜩이나 물가도 올라 힘든데 교통비까지 오르면 서민은 죽어나가는 거다”라고 토로했다.
한편, 서울시는 오는 4월 지하철,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등 요금도 300∼400원씩 인상할 예정이다.
/김민지기자 mangch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