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정규직이었던 적은 없어서 월급을 받아본 적도 없고, 재테크에 눈이 밝은 것도 아니어서 근로 소득으로만 살아왔으나, 그래도 몇 년 전까지는 그럭저럭 소득이 나쁘지 않았다. 그러다 조금씩 강의가 줄기 시작하더니 3년 전부터는 코로나까지 겹쳐 강의가 더 줄었다. 그렇다고 수입이 괜찮았을 때만큼 일할 자신도 기회도 없으니 이제는 이 상황에 적응하는 법을 터득해야 할 것 같다. ‘우아하게 가난해지는 법’을 쓴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역시 나와 비슷한 선택을 한 모양이다. 작가는 기자로 일하다가 해고된 후 전업 작가로 살아가면서 적은 돈으로 우아하게 사는 법을 찾아 나섰다. 마침내 그는 절약을 몸소 실천한 부모님의 모습에서 실용성뿐 아니라 우아함을 발견하고 현대 소비문화를 비판하기에 이른다. 당연한 말이지만, 적은 돈으로 우아하게 살기 위해서는 내공이 필요하다.
사람들이 열심히 일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다. 그러나 그렇게 세상에서 정한 기준에 연연하다 보면, 항상 불만족스러울 수밖에 없다. 오히려 내 삶의 우선순위를 알면 사회적 인정 여부에 크게 연연하지 않으면 큰돈 없이도 자신의 멋을 누릴 수 있다. 폰 쇤부르크 역시 진정한 가난이란 물질적 결핍이라기보다는, 건강이나 아름다움, 부유함을 좇으면서 그것이 완벽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그러니 내 삶의 우선순위를 어디에 둘 것인가가 중요하다. 그렇다고 작가가 생각하듯이 값비싼 헬스클럽에서 화면을 바라보며 달리는 것을 경멸할 생각은 없다. 부자의 삶은 부자의 삶이고 나의 삶은 나의 삶일 뿐이다.
작가의 관점에 가장 많이 동의하는 부분은 집에 대한 생각이다. 집이란 손님을 맞아들이는 자연스러움을 통해서 아름다워진다고, 그는 생각한다. 런던이나 파리, 빈 같은 도시에서는 집이 크든 작든 상관없이 스파게티뿐일지라도 친구들 몇 명을 집에 초대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단다. 음식은 대화를 나누기 위한 매개일 뿐, 음식이 조촐하든지 화려하든지 그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그는 고성능 음향기기나 대형 텔레비전, 디자이너 가구가 있다고 사람들이 즐겨 찾는 것은 아니라면서 친구들이 모여드는 집을 가진 사람, 가슴 답답한 비 오는 날에 찾아갈 수 있는 친구를 가진 사람이 부유하다고 한다.
나 역시 수입이 줄다 보니, 소비에도 우선순위를 두게 되었다. 세워두기만 하던 승용차도 팔았고, 더 작은 집으로 이사할 상황을 대비해서 책도 계속 없애나가고 있다. 책으로 공간을 채우기보다는 지금처럼 친구들과 공부하면서 김밥과 소금빵을 먹는 공간이 내게는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나로서는 굳이 숲을 고집하지도 않으니 어디로 이사 가더라도 동네 골목을 더 많이 걸을 것이다. 특히 은퇴하면 대부분 현업에 있을 때보다 줄어든 돈으로 살아야 한다. 이럴 때일수록 ‘상실에 익숙해질’ 필요가 있다. ‘다른 사람의 생활 양식을 자신의 척도로 삼지 않고’, ‘불필요한 일을 피하고 정말로 중요한 일을 존중’하다 보면, 참된 만족을 느끼게 된다. 이것이 노년에 우아해지는 지름길일 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