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십갑자 중 스물두 번째에 해당하는 을유(乙酉)다. 천간(天干)은 을목(乙木)이고, 지지(地支)는 유금(酉金)이다. 을목과 유금은 음 기운이다. 을목은 연약한 나무나 담쟁이넝쿨, 꽃 등으로 여성적이다. 유금은 금(金)의 결정체로서 단단함을 가진다. 동물로는 닭이다.
을유일주(乙酉日柱)는 겉모습이 화초다. 여린 나무라 부드럽지만, 속은 유금의 속성으로 날카로운 칼의 형상이다. 겉은 부드럽고 속은 단단한 외유내강한 사람이다. 남의 눈치를 보지만 자존심이 강하고 다른 사람과는 타협을 싫어한다. 어떤 위기에서도 풍파를 이기고 나온 화초같이 노련한 지혜와 고집이 있다.
을유일주는 단단한 바위 사이에 핀 화초, 담장을 타고 자라는 능소화로 비유된다. 남을 의식하여 좋게 보이는 것을 좋아한다. 출세 지향적이며, 우아하고 단아하다. 내적으로는 끊임없이 불안하고 흔들린다.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 성실하고 적응력이 뛰어나다.
중국 당나라 때 백거이문집 ‘유목편’에 나오는 시다.
“꽃나무 능소화는 곱기도 하여도 고상하다고는 못하네/ 옆에선 나무를 타고, 넝쿨 넝쿨 백 자나 뻗어 나가며 발부리 돋아 내어 나무줄기에 붙이고, 나뭇가지 끝마다 꽃을 피우네/ 스스로 꿋꿋함을 뽐내며 태풍인들 나를 흔들까 으스대지만/ 어느 날 아침 의지하던 나무가 쓰러지고 나니/ 홀로 서있는 것이 어느새 깃발처럼 나부끼네/ 문득 동풍이 불어 닥치니 아침밥 먹기도 전에 부러지누나/ 해 뜰 때 구름 같던 꽃들이 해도 지기 전에 쓰러져 땔나무로 되는구나.”
스스로 일어서려는 사람들에게 이야기한다. 맥없이 쓰러지는 저 꽃나무를 배우지 말아야 한다. 남의 세력을 등에 업고 스스로 뽐내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 그렇지만 사람은 처한 환경에 따라 행운과 불행이 결정된다.
환경이 뿌리를 내리기 어렵기 때문에 마음이 편하지 않지만, 날카롭고 끈질긴 성격으로 공과 사는 분명하다. 감정기복이 심한 편이다. 자신이 생각하는 이상은 높지만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고 스스로를 괴롭게 만들기 때문에 신경질적인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아무리 어려운 역경이라도 겨울에 꽃피는 인동초 같은 끈질김도 있다.
을유일주는 지지 유금(酉金)이 도화(桃花)를 뜻하는 글자이기에 감각적인 면이 뛰어나서 연예계나 예술계에서 능력을 발휘한다. 동물로는 닭이다. 닭 벼슬처럼 남녀 모두 고고한 이미지나 유려한 모습이 있는 분들이 많다. 남자는 부드럽고 지적인 얼굴에 날카롭고 차가워 보인다. 여자는 화분에 심은 꽃처럼 아름답고 치장을 잘한다. 특히 평균 이상의 미인이 많다.
을유일주는 지지 유금(酉金)안에 경금(庚金)과 신금(辛金)이 차가운 칼을 가지고 있는 형상이기에 냉정한 기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 서리가 내릴 정도로 차가운 사람으로 변한다. 특히 원수가 되면 언젠가는 복수를 하고 마는 기질이 있다. 가급적 원한을 살 일이나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여자의 경우는 질곡의 삶을 암시하기도 한다.
프랑스 작가 에밀졸라(1840~1902년)의 소설 ‘목로주점’은 성실하고 착했던 여성 제르베즈의 삶이 자신의 의지나 노력과 상관없이 숙명적으로 철저하게 파멸되어가는 과정을 매우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절름발이이지만 착하고 예쁜 제르베즈는 가족과 함께 파리에 정착한다. 그러나 씀씀이가 헤프고 바람둥이인 남편 랑치에는 제르베즈를 버리고 다른 여자와 도망쳐 버린다. 그녀는 불행을 딛고 세탁소의 점원이 되어 열심히 살면서 자식들의 뒷바라지에 최선을 다한다.
이때 기와장이 쿠포의 거듭된 청혼에 그녀는 재혼을 하게 되고, 일시적이나마 안정과 행복을 찾는다. 그러나 쿠포가 작업 중 추락사고를 겪으면서 다시 몰락의 길로 들어선다. 사고 이후 불쑥 나타난 전남편 랑치에가 한집에서 기숙하게 되고, 그녀의 몰락은 가속된다. 제르베즈는 세탁소를 처분하고 남의 집 세탁부로 나선다. 이 와중에 딸 나나도 가출과 타락의 길을 걷게 된다. 그리고 쿠포도 알코올 중독으로 비참한 삶을 마감한다. 제르베즈도 역시 알코올 중독과 정신이상으로 죽고 만다.
19세기 자연주의는 인간의 삶이란 개인의 노력과 구상과 결심에 의해서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상황과 유전적 소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는 점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는 계용묵(1904∼1961)의 소설 ‘백치 아다다’가 좋은 예다. 아다다는 백치, 벙어리에다가 소박데기다. 노총각 수롱이는 사고무친에다 가난뱅이였다. 볼품없는 외모, 제 깜냥 갖고는 평생 장가 한 번 들어보지 못하고 죽을 판에 아다다를 아내로 맞아들인다. 그녀가 비록 불구였지만 부지런하고 순진해서 수족처럼 움직여주니 더 바랄 데 없다. 거기에다 명색이 김초시의 딸 아닌가.
둘은 신미도라는 섬 마을로 도망쳐 살림을 차린다. 수롱이가 아다다에게 뭉칫돈을 꺼내면서 밭을 사서 둘이 열심히 농사지으면 큰돈을 벌 것이라고 신이 났다. 하지만 아다다는 깊은 수심의 그림자가 드리워진다.
첫 남편과의 짧은 결혼생활이 생각난 것이다. 싸들고 간 지참금 덕에 한 밑천 잡게 되자. 번듯한 여자를 들여놓고서는 아다다를 소박을 놓아버렸다.
수롱이도 그럴지 모른다는 생각에 뭉칫돈을 꺼내어 바다로 가서 흩뿌려 버린다. 그러자 수롱이는 아다다를 개 패듯이 팬 다음 바다에 던져버린다. 결국 돈 없이 가난해도 사랑하며 살 수 있다는 아다다의 희망은 파도에 묻혀 버렸다.
유전과 환경이 삶의 고비와 곡절을 온통 지배한다는 생각은 그 시대의 편견인 듯 여겨진다. 사람은 물건처럼 단순한 존재가 아닌 것이다. 신체결함을 지닌 채 살아가는 하층민의 삶에도 충실함과 소박함, 수고로움이 녹아있다. 경제개발 과정을 통해 성취한 부와 안락한 생활을 위해 숱한 아다다를 바다에 던지지는 않았는지 되돌아본다. 인간의 존엄성을 되새기면서 진정한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 물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