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갑신(甲申)

등록일 2022-11-09 18:05 게재일 2022-11-10 16면
스크랩버튼

육십갑자 중 스물한 번째에 해당하는 갑신(甲申)이다. 천간(天干)은 갑목(甲木)이고, 지지(地支)는 신금(申金)이다. 갑목은 양기를 가진 큰 나무요, 신금은 동물로는 원숭이다. 물상으로는 커다란 나무 위에 매달려 있는 원숭이다.

갑신일주(甲申日柱)는 우두머리가 되려는 욕망이 있으며, 자존심이 세다. 사회를 개혁하려는 의지가 강하여 자기를 소진하는 경향이 있다. 다방면에 관심이 많고 다재다능하다. 그러나 어느 하나에 집중하지 않으면 성공하기 힘들다. 원숭이처럼 재능이 무궁무진하나 집안에만 있기는 어렵고 밖으로 다니기를 좋아한다. 체면을 중요시하며, 품위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 그러므로 돈을 모으기는 힘이 든다.

중국 전국시대에 제(齊)나라 임금인 장공이 사냥을 하러 성 밖으로 나갔다. 그런데 어떤 곤충 한 마리가 조그만 발을 쳐든 채 장공이 타고 가는 수레의 바퀴를 향하여 덤벼들고 있었다. 장공이 마부에게 “저것이 무슨 곤충이냐”라고 물었다. 마부는 “사마귀라고 부르는 곤충입니다. 저놈들은 앞으로만 나갈 줄 알지, 뒤로 물러날 줄 모릅니다. 저놈들은 자기 능력만 생각하고, 겁도 없이 상대방을 가볍게 여기는 버릇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장공은 “저놈이 사람이라면 아주 용감한 용사가 될 텐데….”라고 말하고는 말머리를 돌려서 그 사마귀를 피해갔다. 몇몇 용감한 사람들이 그 일을 듣고 자신들도 그와 같은 자세로 나라를 위하여 죽어야겠다고 결심하게 되었다. 회남자 ‘인간훈편’에 나오는 이야기다.

용기는 마음에서 우러나는 덕이다. 지나친 용기는 화를 자초하는 수가 있다. 일명 망신살이 끼었다고 한다. 사주에 망신살이 있는 사람은 과감하고 성급하며 노출이나 언행에 실수가 많다. 갑작스러운 일에 우왕좌왕하게 되고 예상치 못한 일에 망신을 당한다. 특히 돈과 명예를 가진 사람들에게 자주 발생한다. 가지지 못한 사람은 망신당할 일이 없다.

갑신일주 특징은 꿋꿋하고 강직하여 굽힐 줄 모르며 모난 것 같으면서도 모나지 않는다. 단 지고는 못사는 성격이기에 꼭 이겨야만 직성이 풀리고 마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천성은 인정과 의리에 치중하다 보니 좋을 땐 한없이 좋으나, 자기의 체면이나 체통을 손상시키면 그 자리에서 면박을 주는 급한 성격이기도 하여 병 주고 약 주는 식이다.

갑신일주를 바위 위에 있는 소나무로 비유한다. 그래서 어려운 환경이지만 그만큼 인내력과 적응력이 뛰어나다. 인생에 굴곡이 많은 편이 단점이다. 인생의 고난이 사람을 강하게 만들고 그 고난을 이겨내면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은 결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가을 산행을 할 때 절벽 사이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소나무를 보면 한 폭의 동양화를 보듯 그 아름다움에 감탄을 한다. 석선 선생의 시 ‘바위 위의 소나무’의 한 구절을 음미해본다. “바위 위의 소나무야/ 외로운 한 그루 소나무야/ 너는 사철 무엇 먹고 산단 말이냐// 흙이 있어 먹겠느냐/ 물이 있어 마시겠느냐/ 흙도 물도 없으니 무엇 먹고 산단 말이냐.”

시인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살아가는 소나무를 걱정스러운 마음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렇지만 나무는 근심 걱정 없이 그냥 존재할 뿐이다. 하이데거는 시인은 언어를 가지고 존재를 지키는 파수꾼이라고 했다.

그리고 ‘존재와 시간’에서 인간은 살아있는 동안 근심의 존재요. 그 길 끝에는 오직 죽음만이 기다리는 비극적 존재라고 했다. 하지만 그 존재는 흔히 평균화된 익명의 존재로 자신을 위장함으로써 이 삶의 비극적 상황으로부터 벗어나려 한다’라고 말한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이야기다. 어느 날, 근심의 신, 쿠라가 흙을 가지고 놀다가 이상한 형상 하나를 우연히 만들게 되었다. 쿠라는 그 모양이 너무나 마음에 들어서 이게 움직이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하였다. 마침, 영혼의 신 제우스가 지나가고 있어서 그에게 부탁했다. 그가 숨결을 훅 불어넣으니 살아 움직이는 흙덩이 즉, 사람이 되었다.

그러나 세 명의 신이 각각 그게 자기 것이라고 고집했다. 먼저, 흙의 신, 호무스가 내 몸으로 만들어냈으니 자기 것이라고 주장했다. 쿠라는 자신이 만들어냈으니 내 것이라고 핏대를 세웠다. 제우스는 살아 움직이게 만들었으니 그 주인은 당연히 자기 것이라고 우겨댔다.

류대창명리연구자
류대창명리연구자

하는 수 없이 그들은 심판의 신, 사튀른에게 가서 판결을 부탁하였다. 한참 숙고하던 심판의 신이 내린 결론은 이러했다. “이 살아 움직이는 것은 오래가지 않아 죽을 것이다. 그때 가서 몸은 호무스에게서 온 것이므로 호무스가 가지고, 영혼은 제우스에게서 온 것이니 제우스가 가져라. 그러나 살아있는 동안은 만들어낸 쿠라의 것이다.” 그래서 사람은 근심의 신 쿠라에 종속된 존재가 되었다. 결국 인간은 살아있는 동안 근심과 염려 속에 허덕이게 되고, 그것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인간이 죽음으로 향하는 존재임을 알 때 비로소 염려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죽음은 인간의 유한성을 말한다. 곧 인간이 자신의 유한성을 자각할 때 비로소 시간의 소중함을 알고 미래를 기획하는 존재가 된다고 하이데거는 말한다.

예기치 못한 재난 소식을 들었을 때 안타깝고 불안하고 걱정을 하게 된다. 우리는 모두 쿠라의 자손이기 때문이다. 타자가 있기에 내가 존재하듯이 나 역시 타인에게는 타자가 되는 것이다. 타자란 사회 안에서 서로 구별되지 않고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이름이 된다. 타자를 서로 돌보아주고 보살펴 주는 것이 우리의 마음씀 즉, 배려와 사랑이다.

류대창의 명리인문학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