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월부터 ‘맛지마 니까야’라는 불교 경전을 읽고 있다. ‘니까야’는 태국, 미얀마, 스리랑카 등에서 사용하는 상좌부 불교 경전을 부르는 이름인데, 석가모니 사후 제자들이 모여 7개월간 결집했다고 한다. ‘니까야’는 빠알리 어로 되어 있어 빠알리 경전이라고도 한다.
우리가 많이 들었던 ‘소승불교’라는 용어는 상좌부 불교를 깎아내려서 부르는 표현이라서 한국에서는 공식적으로 테라와다 불교라고 한다. 현대 정신의학 치료와 심리치료에서 사용하는 알아차림 명상, MBSR 방법은 테라와다 불교의 대표 수행법인 위빠싸나를 현대적으로 응용한 것이기도 하다.
‘니까야’에는 모두 5부가 있다. ‘맛지마 니까야’는 그중 두 번째로 편집된 경전이다. 같은 내용의 산스크리트어 경전을 한역한 이름은 ‘중아함경’이다. 5부를 읽는 순서는 개인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내 경우는 종교적인 색깔은 별로 없어서 신앙으로 읽는 것은 아니지만, 교양 도서에는 없는 내용에 매력을 느껴 같이 읽고 있다. 처음에는 온라인 모임으로 진행하다가 지금은 주 1회 20쪽 정도의 범위를 정해서 각자 읽고 후기만 모아서 카페에 올리고 있다.
여자는 깨달은 자가 될 수 없다거나 깨달은 자의 초능력을 열거하는 대목에서는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지만,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지혜를 배우게 되기도 한다. 지난주에 읽은 대목이 바로 그런 내용이다.
바른 사람과 바르지 못한 사람을 구별하는 방법은 그의 행위가 유익함을 늘리는가 해로움을 늘리는가로 나뉜다고 한다. 유익함과 해로움은 너무나 자명해서 이런 설명은 얼핏 보면 싱겁고 당연해 보이지만, 일상에서 이것을 놓치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다. 자신의 행위가 해로움만 늘리는데도 빠져나오지 못하는 사람을 중독자라고 한다. 그런 특별한 사례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나도 모르는 사이에 해로움을 늘리는 행위를 자주 한다.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탐하거나 쇼핑 목록을 만드느라 시간을 죽이기도 한다.
이렇게 누가 봐도 해로움이라고 인식하는 큰 문제라도 막상 현실에서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 우리는 무엇을 선택할 때 유익함을 늘리는지 어떤지 숙고해서 선택하지 않고 유행이나 감각의 즐거움만을 좇거나 경제적인 이익만을 좇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인생을 바치기로 결심한 사람이 유익함을 늘리고 있는가 아닌가를 알기는 더 어렵다. 이런 문제에 대해 ‘맛지마 니까야’에서는 몸에 좋은 행위는 나쁜 결과를 가져오지 않는다는 단순한 답을 제시하는데, 무릎이 저절로 쳐진다. 아무리 비싼 옷이어도 입기 불편하거나 피부에 문제를 일으킨다면 해롭고, 아무리 큰 집이라도 사람이 우울해진다면 유익하지 않다. 정의를 외쳐도 그것으로 자기 몸이 상한다면, 그런 정의가 세상에서 좋은 결과를 내기는 어렵다.
지난 한 달간, 내 나름대로는 옳은 일을 한다고 동분서주했으나 성과는 없고 머리카락만 한 움큼 빠지고 보니, 이런 구절에서 내 행동이 정말 유익함을 늘리는지 숙고가 더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