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시대의 아이콘이 된 ‘나혜석’이라는 이름

등록일 2022-08-01 18:37 게재일 2022-08-02 17면
스크랩버튼
나혜석이 김우영과 이혼한 이후 아틀리에에서 자신의 작품들과 함께 찍은 사진.

근대의 예술가상을 떠올리자면, 어쩐지 열렬히 불타오르고 금방 사그라들고 만 비운의 작가들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단지 틀에 박힌 스테레오타입화된 사고는 아닐 것이다. 어떤 시대의 공기는 늘 그 공기를 호흡하는 사람들의 묵지근하게 마음을 내리누르고 있지만, 적어도 근대의 예술가들이란 그 시대의 공기를 자연스레 호흡하기보다는 새로운 공기를 불어올 바람을 찾아다니거나 그것을 만드는 사람이니 말이다. 지금 우리가 기억하고 있는 ‘예술가’들 중 대부분이 그의 시대에 앞서 있었거나 혹은 뒤서 있어서 아무런 평가도 받지 못하다가 한참 나중에서야 그에 값하는 평가를 받게 된다. 어떤 삶과 예술은 그것이 사회로부터 받아들여지기까지 오랜 시간을, 아니 인식의 단절이라고 해도 좋을 변화를 요청하고 필요로 한다.

지금 우리 앞에 놓여 있는 ‘나혜석’(羅蕙錫·1896~1948)이라는 화가이자 작가는 바로 그러한 전형적인 근대적 예술가상의 대표적인 모습이라고 해도 좋다.

그는 여성에게는 거의 금단의 영역이라고 해도 좋았던 한국 근대 미술계에서 가장 뚜렷한 작품활동을 보여주었던 화가였고, 문학 작가로서도 일정한 자기 영역을 갖고 있는 작가이기도 했다. 하지만 지금 시대에서 ‘나혜석’이라는 이름을 떠올린다면, 사실 그의 이러한 예술적 성취보다도, 신여성으로서 시대의 인습에 저항하다가 비운의 예술가로서 최후를 맞이했던 그의 삶이 먼저 떠오른다. 물론 어쩌면 이는 당연한 것일지도 모른다.

예술이란, 특히 근대의 예술이란 단지 그림 한두 편이 보여준 성취가 아니라, 시, 소설 몇 줄이 보여주는 성취가 아니라 예술가의 삶 자체가 예술화되어가는 과정을 가리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요컨대 나혜석은 시대를 지나치게 앞서 나가 ‘인형의 집’에서 자발적으로 추방당했고, 그를 통해 시대적인 아이콘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나혜석은 일본 유학 시절, 한국 최초의 문예지 ‘창조’의 동인이었던 시인 최승구와 연애하였지만, 정작 변호사인 김우영과 결혼하였다. 이 결혼은 당시로서는 세기의 결혼으로, 신문지상에 기사로 실릴 정도였는데, 이는 전적으로 당시 나혜석의 유명세 때문이었다. 당시는 여성 예술가가 귀해서 여성으로서 미술이나 음악, 문학을 창작했던 작가들은 언제나 주목의 대상이었던 시대였다. 그 때문에 신여성으로서 예술을 하고자 했던 이들은 언제나 조선 전통의 관습을 따르는 평온한 삶과 시대적 관심 속에 자신을 내맡기는 삶 사이에서 고민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나혜석의 소설 ‘경희에서 나혜석 자신의 페르소나이기도 한 ‘경희’가 결혼하기 전 자신 앞에 놓인 두 개의 길을 내다보고 고민했던 것은 바로 이러한 고민이었다. 다만, 나혜석으로서는 두 개의 길 중에 평온한 삶을 택했던 것이었지만, 그 삶조차 평온한 것은 아니었다. 널리 알려져 있듯, 구미만유, 불륜, 이혼고백장, 정조취미론 등 이후 나혜석이 걸었던 삶은 조선 전래의 인습에 맞서 자기를 예술화하는 것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나혜석에게서 결혼과 정조라는 낡은 관념에 저항했던 페미니스트의 면모를 발견하지만, 그의 삶에서는 한국에서는 일찍이 존재한 적이 없었던 근대 예술가의 상을 떠올리게 된다. 비록 그가 평온한 삶을 바랐다고 하더라도 결국 그렇게 될 수는 없었을 것이다. 결국 언젠가는 시대를 앞서 나가 그것과 싸우고 비참하게 최후를 맞이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것이 결국 삶을 예술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근대 예술가의 숙명일 테니 말이다.

나를 둘러싼 시대의 공기가 정체되어, 마치 그것이 나의 온몸을 짓누르는 느낌이 들 때, 나는 나혜석의 소설을 읽는다. 그 속에는 다가올 예술에 대해 예감하면서 두려움에 떨고 있는 존재가 있다. 성별이나 민족을 넘어서 시대적 편견과 싸우는 예술가들이 겪는 두려움에 여전히 공명하게 되는 것은 근대 예술의 이상이 아직 종료하지 않았다는 기미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송민호 홍익대 교수

송민호의 書架(서가)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