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하루에 크고 작은 의사결정을 500번 한다고 한다. 아무리 세어봐도 500번까지 될 것 같지 않지만,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 조던 피터슨의 연구 결과라고 하니 영 허튼소리는 아닐 것이다. 그러나 선택의 순간에 어느 결정이 좋은 선택인지 알기는 참 어렵다. 선택하고 있는지도 모르고 하는 경우도 많다. 선택하고 나서야 알게 되기도 한다.
어쩌다가 김성수의 ‘글쓰기명상’에 나오는 ‘내가 선택했던 좋은 결정 백 가지’를 써보았다. 그동안 좋은 결정을 얼마나 했을지 자신이 없어서 일부러 십 분 제한을 두고 써보니 그래도 스물한 가지를 쓸 수 있었다. 그중에는 오늘 아침 청소한 것과 같은 작은 결정부터, 어미 잃은 생후 한 달도 안 된 고양이를 키우기로 한 20년 전의 약간 큰 결정, 출산처럼 인생의 큰 방향을 좌우하는 큰 결정까지 삶의 여러 순간에 했던 결정들이 노트에 쓰여 있었다.
그런데 가만히 들여다보다가 이런 스물한 가지 결정들이 나의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의지로 한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오늘 아침 청소는 손님이 오기 때문에 한 것이고, 고양이를 거둔 것은 그 고양이가 내 손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 전에 집안까지 들어온 길고양이가 싫어서 동물보호소에 갖다 준 일로 항상 마음 한구석이 켕겨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 결혼 역시 대단한 의지로 선택했다고 보기 어렵다. 그야말로 어쩌다가 그렇게 된 것이다.
엄청난 성취를 이룬 사람도 시작은 어쩌다가 하게 되기도 한다. 며칠 전 18세의 나이로 반 클라이번 콩쿠르에서 1등을 한 피아니스트 임윤찬은 7살 때 친구들이 피아노, 태권도, 수영을 하나씩 해서 나도 하나 해야지 하는 마음으로 엄마 손에 이끌려 동네 상가 피아노 학원에 갔다고 한다. 그러고도 처음 1, 2년은 피아노를 좋아하지 않았는데, 어쩌다 예술의 전당 영재 프로그램에 지원하게 되었고, 그렇게 오늘이 있게 되었다고 한다. 그 역시 처음부터 자신의 대단한 결정으로 시작한 것은 아닌 셈이다.
좋은 일만 그럴까? ‘어쩌다 정신과 의사’의 저자 김지용은, 마음에 병이 있어서 찾아온 분들을 보면 그분들 탓이 아닌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어쩌다 결정되고 어쩌다 흘러왔을 뿐이고, 또 시간이 지나다 보면 어쩌다 해결되는 경우도 많다고 하면서, 그것이 인생인 것 같다고 말한다. 소아청소년과 의사이면서 자폐증 관련 의학서적을 출간한 출판인 강병철 역시 자폐증에 걸린 사람도 어쩌다 그렇게 된 것일 뿐 부모에게 책임을 물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마음이 힘들어 집 밖에 나가지 못하고 있는 20, 30대 젊은이들 역시 자기가 선택했다기보다 어쩌다가 그렇게 된 것이다.
어떤 결과가 나오는 데는 무수한 원인이 작용하고, 우리는 그 원인을 다 알 수 없다. 결과가 좋다고 자기가 잘 결정해서 그런 것은 아니라는 깨달음은 자신을 겸손하게 하고, 아프고 힘들게 된 것이 그들의 잘못된 선택으로 그렇게 된 것만은 아니라는 발견은 자책감에서 벗어나 스스로 돌보는 힘을 준다. ‘어쩌다 보니’는 우리를 구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