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시민 행복·지역발전 기원” 권영세 시장 ‘12년 시정’ 마침표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2-06-09 20:21 게재일 2022-06-10 11면
스크랩버튼
민선 5~7기, 도청 이전 성공 안착  <br/>의료용 헴프 산업화 기지 조성 <br/>첨단 바이오백신산업 기틀 마련<br/>관광거점도시 선정 등 성과 일궈
12년간 안동시정을 이끌어 온 권영세 시장의 대장정이 이달 막을 내린다. /안동시 제공

[안동] 민선 5기 ‘행복안동’, 민선 6기 ‘더 큰 안동 더 좋은 미래’, 민선 7기 ‘안동을 더욱 안동답게’를 기치로 12년간 안동시정을 이끌어 온 권영세 시장의 대장정이 이달 막을 내린다.

권 시장의 민선 5기는 재난극복으로 시작했다. 2010년 말 발생한 구제역 극복 경험은 이후 메르스(2015년)와 코로나19(2020년) 등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과 내륙지역 최대규모 산불 발생(2020년) 등 어떤 재난도 흔들림 없이 대처할 수 있는 처방전이 됐다.

권 시장의 12년간의 성과는 ‘시민 행복’을 최우선 가치로 취미활동 공간과 생활스포츠 인프라 확충, 예술의 전당 등 다양한 문화향유 기회를 부여하고 배달 강좌로 시민들에게 평생학습의 기회를 부여했다. 또한, 성공적 도청 이전으로 안동이 경북 중심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했으며, 원도심을 중심으로 활발한 도시재생사업과 물순환 선도도시사업, 상권르네상스, 임청각 복원, 옛 안동역부지 활용방안 용역 등 다양한 사업도 추진했다.

2010년 유치한 SK케미칼은 바이오산업단지 활성화뿐 아니라 안동을 첨단 바이오 산업과 세계적인 백신산업 중심의 성장동력으로 만들었다. 이는 코로나19의 펜데믹 상황에서 안동을 국내 최초 백신 공급 지역이라는 결실로 나타났다.

지난해 헴프 규제자유 특구 지정은 대마 주산지인 안동을 국내 최초로 의료용 헴프(대마) 산업화 기지로 만들고 있다. 현재 한국콜마(주) 등 30여 개의 기업들이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사업 성공을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안동시는 이런 산업을 바탕으로 매년 가용재원의 10%를 투자하고 지역대학이 인력 양성책임을 맡아 기업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력을 양성·지원하는 전국최초의 안동형 일자리 모델도 구축했다.

2020년 관광거점도시 선정과 안동문화 세계유산 등재 노력은 안동은 글로벌 명품 관광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했다. 1천억 원 규모의 관광거점도시 사업은 새로운 콘텐츠 발굴과 관광인프라 확충으로 외국인도 스마트폰 하나만 들면 맘 놓고 안동을 여행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안동의 살림살이도 두 배로 커졌다. 본예산 기준 2010년 6천200억 원에 불과하던 살림살이는 2017년 1조 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1조3천100억 원으로 커졌다. 또한, 2018년 이후 채무 제로를 유지하고 재정안정화 기금 1천억 원까지 확보했다.

권 시장은 “경북의 중심 웅부 안동을 열어준 주역인 16만 안동시민들께 감사하다”며 “이제 영광스러운 시장직을 내려놓고, 평범한 안동시민으로 돌아가 시민 모두의 행복과 안동시 발전을 기원하고 응원하겠다”고 전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