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폭행·학대 의혹 전 원장<br/>“범죄 모면하려 내부고발 선수” <br/>직원들 상대로 경찰에 고발<br/>가짜 간이영수증·카드깡 수법<br/>입소비·보조금 등 착복 주장
내부 고발로 인해 장애인 상습폭행·학대, 급여 착복 의혹(본지 4월 14일 7면 보도)이 발생한 안동 S재활원에서 사문서위조 공금횡령 등 또 다른 의혹이 제기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S재활원 전 원장인 A씨는 지난달 22일 재활원 직원 A씨 등을 업무상횡령·사문서위조·위조사문서 행사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A씨는 “이번 장애인 상습폭행·학대, 급여착복 의혹을 제기한 직원들이 자신들의 업무상횡령·사문서위조·위조사문서 행사 등의 범죄가 발각될 위기에 처하자 선수를 쳐 장애인 폭행·학대, 급여착복 의혹을 제기한 것”이라며 “당시 다른 직원에게 이들이 보조금 등을 착복하고 있다는 제보를 받고 사실을 확인하려 하자 이 사실을 알게된 이들이 오히려 내부고발이라는 이유를 들어 재활원을 고발하고 자신들은 빠져나가려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오히려 내부 고발자라는 사람들이 그동안 장애인의 입소비나 보조금 서류를 위조해 착복하고 있었다”며 “가짜 간이영수증을 만들어 장애인 입소비 통장에서 끊임없이 현금을 인출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강조했다.실제로 A씨가 보여준 시설에 입소 장애인 중 B씨의 통장의 경우 치킨대금 등 여러 이유로 출금이 된 기록이 있었으며, 같은 날 첨부된 구매 영수증은 요즘 일반적으로 쓰이지 않는 간이영수증이 첨부돼 있었다. 문제는 여러 업체의 간이영수증에 적힌 글씨체가 모두 같은 글씨체로 보인다는 점이다.
또한, 안동에 소재하고 있는 재활원임에도 불구하고, 칠곡 등 타지역 업체의 간이영수증이 첨부돼 있기도 했으며, 보조금 지출 서류의 경우 정상적으로 구매한 물품 영수증을 재첨부하는 등의 수법으로 돈을 착복한 정황이 나타나기도 했다.
A씨는 “간이영수증을 발급한 업체를 다니며 해당 업체에서 발급한 것인지 확인했으나 대부분의 업체에서 간이영수증을 발급한 사례가 없다거나 글씨가 다르다고 답했다”며 “재활원 직원 중 서무를 담당하는 C씨와 전 국장 D씨, 팀장 E씨, 조리사 F씨 등이 사건을 주도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A씨는 “이들 중 D씨는 F씨 등에게 F씨가 아는 업체에서 물건을 구매한 척 서류를 꾸미고 결재한 뒤 돈으로 돌려받는 일명 카드깡 등의 수법으로 후원금이나 보조금을 착복해 나눠 가지는 등의 범죄를 저지른 정황도 있다”며 “이 같은 사실은 자신의 범죄가 탄로날 것을 우려한 F씨의 진술로 알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찰 관계자는 “현재 이들 중 C씨에 대해서만 고발이 들어와 수사중에 있다”며 “나머지 3명의 경우 수사 진행 상황에 따라 피의자로 전환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안동/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