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폐기물의 재활용

등록일 2022-04-28 18:04 게재일 2022-04-29 18면
스크랩버튼
윤영대수필가
윤영대수필가

봄은 이사 철이다. 대단지 아파트에는 하루에도 몇 건씩 대형 크레인이 설치되고 이삿짐센터 트럭이 와서 이삿짐을 싣고 내린다. 이사 후, 쓰레기장에는 값비싼 장롱부터 탁자, 침대와 가전제품들이 수북이 쌓여있다. 언뜻 보면 모두 쓸만한 것들인데 다 폐기되는 것이다. 그것도 그냥 버리고 가는 것이 아니라 돈을 주고 산 폐기물 딱지를 붙여둔다. 버릴 때 돈도 들지만 중요한 것은 분리배출이다. 나무 금속 등은 재가공 처리되어 중고품이 되고 종이와 비닐류는 재활용될 수 있다.

국내 폐기물발생량은 연간 약 1억9천5백만 톤, 그중에서 사업장 폐기물이 약 2천만 톤이고 건설폐기물은 약 1천만 톤이다. 이들 대부분은 소각하거나 매립하겠지만 이제 소각시설도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심하고 대도시 인근 매립장은 소각 후 남은 재만 선별하여 묻어야 한다. 따라서 폐기물 재활용방안이 여러 분야에서 연구 시행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시멘트산업 분야에서 생산원료인 석회석을 제외한 부원료와 연료에 폐기물 680만 톤을 재활용하는 등 순환율은 23%를 이루었다지만 독일 68%, 유럽연합(EU) 46%에 비하면 아직도 적은 수치다.


‘폐기물관리법’이 1986년에 제정되어 사회의 변화에 따라 개정되어 오면서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고 친환경적으로 처리하여 환경보전과 국민 생활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있는데 국민의 생활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생활 쓰레기 중 가장 골칫거리가 플라스틱과 비닐류 물품들이다. 플라스틱은 석유 추출 고분자 화합물인 합성수지이며 염산과 황산에도 녹지 않고 5백 년간 썩지도 않는다니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겠다. 매년 세계적으로 수천만 톤이 생산되는 폴리에틸렌은 투명도와 단열성으로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플라스틱이며 아무렇게나 버린 조각들이 바다를 떠돌며 전 세계 거북이들의 반 이상이 삼키고 있다는 소식에 안타깝다.


우리의 실생활에서 무심히 버리고 있는 쓰레기 중 조금만 신경을 쓰면 재활용될 수 있는 것이 페트(PET)병과 종이컵이다. 페트병은 생수병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며 페트병 환급제도를 위한 조사보고서에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로 수거율이 85%이지만 재활용률은 10% 이하라고 하니 버릴 때 다른 플라스틱 폐기물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고 이물질도 씻어내고 부착물도 떼어내어 재활용이 쉽도록 해야 한다.


1회용 컵도 마찬가지이다. ‘컵 보증금제’라는 제도를 마련하여 커피 열풍으로 엄청나게 소비하는 종이컵도 함부로 버리지 말고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실시할 예정이다. 연평균 230억 개가 사용된다고 추정되는데 그 회수율은 1.5%에 불과한 것은 재활용 방법의 홍보가 미흡한 탓일까? 종이컵은 안쪽이 비닐 코팅이 되어 있어 종이가 아니다. 플라스틱 뚜껑과 분리하고 모아서 버리면 휴지의 원료로 재탄생하는 자원이 될 수 있으며 소각할 때보다 온실가스를 66%로 감소시킨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금요광장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