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설중매(雪中梅) 피어나듯

등록일 2025-03-20 18:51 게재일 2025-03-21 18면
스크랩버튼
윤영대전 포항대 교수
윤영대전 포항대 교수

춘분(春分)을 이틀 앞둔 18일, 전국 대부분 지역에 대설주의보가 내려졌었고 3월 중순의 늦은 폭설로 수도권과 강원 및 중서부 지방은 온통 백설로 뒤덮혀 대형 교통사고도 이어졌다. 이는 북극발 영하 40도의 소용돌이 제트기류가 몰려온 기상 이변으로 남해고속도로 42중 추돌사고를 비롯해 영동고속도로 8중 추돌사고 등 꽃샘추위 속에 출퇴근 길이 어려웠었다.

포항 경주 지역에도 대설주의보가 내려져, 빙판길 주의하며 차량을 서행 운전할 것과 도로 결빙으로 미끄러짐 주의 등 안전안내문자가 날아온다. 울릉도에는 대설경보가 내려져 적설량 36.5㎝로 최고기록을 보였고 크루즈 여행객들이 많은 불편을 겪었다는 소식이다, 그러나 주말부터는 다시 평균기온을 회복하여 최고 기온이 15도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어저께 첫눈을 맞았다. 외출하려고 무심코 아파트 현관문을 나서니 함박눈이 소리 없이 내리고 있었다. 첫눈이라 신기해서 손바닥에 받아보았는데 차가움보다 가벼운 감각이 봄을 느끼게 하는 듯 같았다. 앞 화단의 목련꽃 봉오리에도 매화꽃 잎새에도 내리고 있었지만 설중매(雪中梅)의 모습은 보여주지 않고 곧 녹아버려 서운했다. 휴대폰에는 지인으로부터 보내오는 설중매 사진이랑 얽힌 얘기들이 쌓인다.

설중매는 굳건한 의지와 고결한 품격을 상징하며 옛 시인과 묵객들은 그 절개와 인내를 시와 그림으로 많이 남겼는데 상촌 신흠(象村 申欽)의 싯귀가 생각난다. 매일생한불매향(梅一生寒不賣香) 즉, ‘매화는 한평생 추운 겨울에 피어나지만 그 향기를 팔지않는다’는 뜻이다. 시골집 능수매화가 지난주 꽃봉오리를 맺었는데 이번 눈에 설중매가 되었는지, 또 오래전 봄날 통도사에서 보았던 빨간 자장매(慈藏梅)도 하얀 눈송이를 덮어썼을까?

춘분 지나 밤보다 낮이 길어지고 땅 온도가 오르면 봄이 완연해질 텐데, 1주일 전, 전남 영암과 무안에서는 뜬금없는 구제역이 발생하여 축산농가의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고 화순에서는 조류인플루엔자도 발견되어 당국에서는 방역에 최선을 다짐하고 있다.

우리 정치판은 아직도 탄핵정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판결로 탄핵 될지 각하·기각될지 심판지연에 따른 여·야의 공방 속에 국민들은 봄 같지 않은 봄을 맞는 기분이리라. 윤 정부 들어 발의한 29번의 탄핵소추로 인한 정치 불안정의 파장은 국제적으로 퍼져나가며 미국은 우리나라를 민감국가(sensitive country)로 정할 것이라는 말도 떠도는데 만일 다음 달 15일 확정된다면 외교적 신뢰 저하는 물론 국가 이미지 추락이라는 상황을 맞게 되는 것이다. 이 민감국가는 1954년에 도입된 이후, 중국 러시아 북한 이란 등 전 세계의 25개국에 낙인을 찍고 있지만, 최근 우리나라는 외교 문제가 아니고 과학기술관점에서 방첩, 첩보 등 에너지 보안이 허술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는 모양이다.

따뜻한 봄은 곧 온다. 이제 하얀 눈에 덮인 설중매처럼 굳건한 의지로 국제 신뢰를 쌓고, 고결한 품격으로 국내 분열을 가다듬어 새로운 나라의 봄날을 맞도록 하자.

금요광장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