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오(庚午)

등록일 2022-04-20 20:13 게재일 2022-04-21 16면
스크랩버튼
정래순作 ‘일상적 사유’
정래순作 ‘일상적 사유’

육십갑자 중 일곱번 째 경오(庚午)다. 경(庚)이라는 천시(天時)는 바로 단풍으로 물들어가는 나무라 할 수 있다. 나무에게서 하늘의 기운인 천기를 다시 거두어 가는 것이기에 결실을 맺는다. 겨울을 대비하기 위함이다. 사실, 나무는 ‘에고 에고 나 죽소!’하는데 사람들은 단풍놀이에 흠뻑 빠져 아름다움에 즐거워한다. 달도 차면 기우는 법, 자연의 이치를 모를 뿐이다.

땅의 기운은 ‘말’오(午)다. ‘말’이라는 지기(地氣)만 놓고 본다면 일기당천(一騎當千·한 사람의 기병이 천 사람을 당한다는 싸우는 능력이 아주 뛰어나다는 뜻)하기에 더 적합한 하늘의 기운을 키울 ‘종마’(種馬·씨를 받기 위하여 기르는 말)가 된다. 조랑말이나 짐을 끌고 다니는 말이 아니라, 천리를 달리는 천리마(千里馬), 적토마(赤兎馬) 같은 명마를 길러낼 ‘종마’가 된다. 말 중에 제일 비싼 말이 ‘종마’다.

창업을 하여 오너가 되려면 ‘종잣(種子)돈’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꼭 그렇지는 않다. 사람들은 장사를 하건, 사업을 하건, 뭔가 있어야 하지라고 말 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신뢰’가 ‘종잣돈’이라 생각한다. ‘신뢰’가 없으면 천신(天神), 지신(地神), 또 어떠한 존재도 마음속의 소망을 이룰 ‘종잣돈’을 주지 않는다. ‘신뢰’라는 종자를 만들어 낼 수 있다면 하늘이 돕고 땅이 돕는다는 천지신명(天地神明)의 도움이라는 천군만마(千軍萬馬)를 얻게 되는 것이다.

프랑스혁명 당시 루이 16세와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가 시민혁명군에 포위되었을 때 궁전을 마지막까지 지킨 것은 스위스 용병 약 700명이다. 이들은 프랑스 왕과 왕비를 지키기 위해 용맹하게 싸우다가 장렬하게 최후를 맞았다. 시민혁명군이 퇴각의 기회를 주었는데도 스위스 용병은 계약기간이 남았다는 이유로 제의를 거절했다. “우리가 신뢰나 의무를 저버린다면 우리 후손은 더이상 용병으로 일할 수 없을 것이다.” 죽은 용병의 품에서 나온 유서 글이다. 오늘날 스위스 용병이 로마교황청의 경비도 담당하는 전통으로 이어지는 이유다.

사주 인연이 부자인 사람은 부자거나 부자였고, 출세한 사람은 출세했거나 한 때 그러했다. 사주 인연이 그저 먹고 사는 사람은 과거에도 그랬거나, 지금도 그러한 정도다. 반면에 사주 인연이 거의 없는 사람은 원래 이번 생(生)이 그러하거나, 무식하게 까불다가 강등된 분이다. 그래서 자기 위치와 환경을 볼 줄 아는 공부를 해야 하는 것이다.

경오(庚午) 일주는 하늘에서 경을 치니(나쁜 짓을 해서 혼내주다) 말이 무조건 달려가는 형상이다. 자기 사주를 모르고, 지금 처한 형편도 모르면 위험이 닥칠 수 있다. 바로 내가 가진 아집을 버려야 큰 것을 얻을 힘이 들어온다. 이런 이치도 모르고 멀쩡한 부모, 형제 복을 자기 발로 걷어차고 나는 자수성가한다고 억지를 부리면 성공할 확률이 희박하다. 그러나 성공하면 크게 성공을 한다. 주위의 인연을 볼 줄 아는 안목이 필요하다.

경(庚)은 다듬어지지 않은 원석, 바위다. 오(午)는 야생성을 잃지 않은 말의 모습이다. 대담하고 거침이 없으며 앞만 보고 달려가는 기상을 가지고 있다. 길들여지지 않은 야성미와 자연미가 있어 많은 사람들에게 호감과 선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꾸미지 않아도 자체에서 발산되는 원초적인 아름다움으로 인해 뭇사람의 관심과 이목을 끄는 경우가 많다.

말은 등에 누가 타든 주인에 대한 인식이 없이 무작정 달려가는 습성이 있다. 그러므로 안하무인(眼下無人)적인 행동이 큰 단점이다. 말은 주인을 잘 만나야 힘들지 않은 삶을 영위 할 수 있고, 아니면 똥 구르마를 끄는 고달픈 신세가 된다. 사람도 배우자를 잘 만나야 된다.

옛날 어떤 임금이 천금을 가지고 천리마를 사려고 삼 년 동안 노력하였지만, 사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어떤 환관이 “제가 천리마를 사 올 터이니 저를 보내 주십시오”라고 임금에게 청했다. 임금이 허락하였다. 허락을 받고 천리마를 찾아 나선 그 환관은 석 달을 아무 성과 없이 보내고 나서야 참다운 천리마 한 마리를 찾아냈다. 그러나 그 말을 찾았을 때는 이미 그 말이 죽은 후였다.

그 환관은 5백금을 주고 죽은 말의 머리를 사서 매우 기뻐하면서 궁궐로 돌아왔다. 임금이 그 환관을 보고 크게 화가 나서 벼락같은 소리로 “내가 사오라고 한 것이 살아있는 말인 줄 몰랐더냐? 죽은 말을 무엇에 쓰란 말이냐? 게다가 어처구니없게 5백금이나 헛되게 써버리다니!”라면서 나무랐다.

류대창명리연구자
류대창명리연구자

그 환관은 “비록 죽었을지라도 천리마라는 이유로 5백금을 아낌없이 줄 수 있다면, 살아 있는 천리마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이 소식이 온 나라에 퍼져 나간다면, 백성들은 임금님께서 진심으로 천리마를 사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천리마는 스스로 이곳으로 찾아 올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과연 일 년도 못 되어서 궁궐 문 앞은 팔려고 내 놓은 천리마로 장시를 이루게 되었다. 유향의 전국책 ‘연책(燕策) 1편’에 나오는 글이다.

사마천 사기 ‘백이열전’에 안회를 ‘천리마의 꼬리에 매달려 천 리를 가는 쉬파리’로 표현했다. 젊은 나이에 요절했지만 공문십철의 으뜸으로 인정받은 것은 공자의 수제자로서 학문과 덕행이 뛰어나 후세까지 이름을 남긴 것이다. 사람들은 세상에 천리마가 없다고 한다. 천리마가 없는 것이 아니라 찾지 못하는 것이다. 천리마도 자기를 알아주는 현명한 사람을 만나면 그 모습을 드러내는 법이다. 겉모습을 보고 판단하면 실수하기 쉽다. 비슷한 것은 다 가짜이기 때문이다.

류대창의 명리인문학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