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마른 땅에 단비가 내려 열흘째 애태우던 울진산불이 진화돼 천만다행이다. 50년만의 최악인 겨울가뭄에 봄의 초입부터 잇따르던 크고 작은 산불로 많은 피해가 나고, 농어촌의 용수부족과 일부 섬마을의 식수부족 비상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건조한 겨울을 지나면서 빈발하는 전국 산불의 70%가 봄철에 집중되고, 1/3 이상이 사람의 실화에서 비롯된 것이라니 안타깝기만 하다. 어쩌면 기후변화의 역습에 인재(人災)가 갈수록 더해지는 양상이랄까?
자연의 흐름은 구름이 움직이다가 비를 내리고(雲行雨施), 만물이 두루 은택을 받아 큰 조화로운 기운을 보전하여 이롭고 곧게 된다(保合大和 乃利貞)는 것인데, 이러한 천지자연의 변화에 균형이 무너지고 조화가 어긋나게 되면 결국 운행과 순환에 차질을 빚게 된다. 그래서 간혹 기상이변이니 천재지변 같은 불가항력적인 재앙이 닥치는지도 모른다. 작은 우주라 하는 사람도 자연과 같은 원리로 구성되어 자연과 같이 변화하고 상응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자연의 이치와 변화에 따르고 순응하는 것이 자신의 삶과 사회적인 관계에서도 순조로움과 평정을 지켜가는 길이 아닐까 싶다.
평안과 고요함을 의미하는 평정(平靜)은 곧, 지나치거나 모자라지 아니하고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떳떳하며 변함이 없는 상태나 정도를 의미하는 중용(中庸)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중용은 동양철학의 기본개념인 사서(四書)의 하나로서, 지나치거나 모자람없이 도리에 맞는 것이 ‘중(中)’이며, 평상적이고 불변적인 것을 ‘용(庸)’이라 하여, 중용에서 말하는 이른바 ‘도덕론’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중용은 극단 혹은 충돌하는 모든 결정에서 중간의 도(道)를 택하는 일종의 소신과 지혜라 할 수 있다.
지난 주에 제20대 대통령 선거의 향배가 결정돼 민심이 술렁이고 있다. 0.73% 차이라는 역대 대선치고는 유례없이 근소한 차이의 당락이었지만, 어쨌든 결판이 났기에 희비의 쌍곡선이 제각기 그려지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를 두고 혹자는 국민의 준엄한 심판에 겸허하게 더 낮은 자세로 임해야 한다고 하거나, 일각에서는 이념이나 진영, 지역이나 세대를 아우르는 민의를 존중하고 당면과제에 충실하고 신중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거의 국민 절반이 찬반을 보인 것이기에 충분히 일리 있어 보이는 대목이다.
이러한 국면일수록 중용과 포용의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본다. 비등비등한 상황일수록 상대편의 주장이나 논점을 받아들여 여타의 쟁점을 중화 (中和)하고 융합하는 ‘협치의 모멘트’가 묘책이 될 것이다. 절반의 근사점에서는 갈등의 소지도 많고 공감의 여지도 많기에, 긍정과 비판의 사이에서 배려와 존중의 포용력으로 조율하고 합일점을 꾸준히 찾아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할 것이다. 그 바탕에 어느 한쪽으로도 쏠림 없는 중용의 도를 견지하고 실천하는 것이 관건이 아닐까 싶다.
비를 내리는 것은 하늘의 몫이지만, 융화(融和)는 오직 사람에게 달려있다. 모든 일에 중용의 자세로 굳건히 중심을 잡아 두루두루 살피고 보듬어, 견제와 균형으로 평안하고 화애로운 날들이 열리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