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가을 들판에서

등록일 2025-10-21 15:59 게재일 2025-10-22 18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시월 들어 거의 흐리거나 비 오는 날의 연속이다. 맑고 높푸르러 가는 하늘에 부신 햇살과 서늘한 갈바람으로 알곡이 여물고 고운 단풍이 들어야 하는데, 때아닌 음습함이 이어지고 있으니 이 또한 기후변화의 일종인가? 갈수록 변덕을 부리는 이상기후가 어수선한 국내외 정세와 들쭉날쭉한 경제상황과 엇비슷해 의아하기만 하다. 

그래도 이제 곧 상강(霜降)이 지나고 서리가 내리기 시작하면 하늘은 한결 투명해지고 결 고운 가을빛이 천자만홍으로 내려앉을 것이다.

태풍 하나 없이 무덥고 길었던 여름날을 보내선지 가을이 주춤하는지도 모른다. 그래도 들판의 오곡백과는 풍성하게 익어가고 산자락의 밤송이는 저절로 벌어져 밤알이 떨어지고 있다. 그에 맞춰 사람들에게 있어서도 앞만 보고 달려온 듯한 나날 속에서 조금씩 크고 작은 일들의 매듭이나 행사가 벌어져 가을날이 한결 풍요로워지고 있다. 한 해의 성과를 차츰 갈무리하면서 새로운 해의 계획을 구상하는 4/4분기에 접어드는 때라 결실과 수확으로 더 큰 진취의 발판을 삼기도 한다. 그래서 사뭇 가을이 중요하고 고대되는 것일까?

“푸르청청 일렁이던/들판의 화폭에는//손길 눈길 발길 더해지고 겹쳐지고 땀방울 빗방울 스며들고 맺히더니 햇볕에 다독이고 바람이 쓰다듬어 별빛이 내려앉고 달빛이 어루만져 무럭무럭 우렁우렁 자라고 부풀고 돋아나고 뻗어가고 피어나고 열매 맺어 알알이 색조 입고 켜켜이 곡조 타며 설레어 맴돌고 자분자분 익어가네//조각보/정갈함 마냥/곱다랗게 수놓네” -拙시조 ‘가을 들판’ 전문

산에는 아직 갈빛이 성글지만 들녘은 황금빛으로 물들어가며 넉넉하게 넘실대고 있다. 농부의 마음으로 땅을 일구고 씨를 뿌려 싹을 틔우고, 애틋하게 돌보며 보듬고 키운 작물이 꽃을 피우고 결실을 맺는 것은 어찌보면 지극히 당연한 자연의 섭리 같은 일이지만, 그러나 춘화추실(春華秋實)은 단순하다거나 누구에게 저절로 쉽게 주어지는 일이 결코 아닐 것이다. 튼실한 열매를 맺기 위한 자양분과 세심한 보살핌으로 쉼없이 물을 주고 잡초를 뽑으며, 애써 키우는 손길과 남모를 땀방울이 있어야만 알곡이 단단히 여물고 귀한 열매로 맺어지게 될 것이다.

사람이 계획하는 대소사나 학업, 사업, 목표, 노력, 성취, 성과 등 일련의 산물도 크게 보면 춘화추실에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씨를 뿌려놓고 가꾸거나 추스르며 거두는 노력을 하지 않으면 결코 아무런 열매를 맺지 못함은 자명한 이치이다. 봄에 씨를 뿌리고 심지 않으면 가을에 후회하듯이(春不耕種秋後悔), 일이 비록 작더라도 시작하지 않으면 이룰 수 없고(事雖小 不作不成) 꾸준히 노력하고 추구하며 시도하는 자에게는 늘 새로운 길이 열리기 마련이다. 그렇게 되기까지는 전적으로 자신의 마음먹기와 의지, 남다른 노력여하에 달려있다.

벌써부터 주변에서 들려오는 각종 발표와 수상, 출간과 성취 등의 소식에 고무되기도 하지만 짐짓 의아해하기도 한다. 거의 비슷하게 새날의 걸음을 내디디며 여기까지 왔는데, 움켜잡은 손에서는 모래알만 빠져나간 듯하니 너무 안주하고 소졸한 발길 탓일까? 70여 일 남은 연말까지 작은 열매 하나라도 애써 거둬야 하리라.

/강성태 시조시인·서예가

心山書窓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