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동아시아 한파, 북극의 온난화 때문”

이시라기자
등록일 2022-03-01 20:40 게재일 2022-03-02 6면
스크랩버튼
포스텍 공동연구팀
국내 연구진이 동아시아에 때아닌 한파가 닥친 이유가 역설적으로 수천㎞ 밖에 있는 북극의 온난화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포스텍은 환경공학과 국종성<사진> 교수와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김진수 박사 공동 연구팀이 북극 온도 변화와 동아시아 한랭 피해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고 1일 밝혔다.


대기의 온실가스가 늘어나면서 지구의 평균 기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중위도의 여러 국가는 오히려 이례적인 강추위 피해가 커지고 있다.


연구팀은 두 현상의 연관성을 찾아 여러 관측 결과와 기후모형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북극에 있는 바렌츠 해와 카라 해의 겨울 온난화가 동아시아에 기후 변화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북극에서 겨울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동아시아 대부분 국가에서 한파가 나타났고, 중국 남부의 아열대 상록수림에서는 식물 잎 면적이 줄어드는 현상이 확인됐다.


한파를 겪은 뒤 동아시아 지역 식물은 봄에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져 벚꽃 등의 개화 시기가 늦춰졌다.


연구팀은 북극 온난화로 동아시아 지역 식물이 냉해를 입은 경우 이산화탄소 흡수량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진행했는데, 1차 생산량을 기준으로 238메가톤(Mt, 1메가톤은 100만t)이 덜 흡수됐다.


이는 무려 우리나라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611Mt)의 약 40%에 달한다. 북극의 겨울이 따뜻해지면 동아시아 생태계는 반대로 혹독해진다는 사실을 증명한 것이다.


국종성 교수는 “앞으로 탄소 중립 정책을 수립할 때, 단순히 배출량 감소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탄소 흡수량 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시라기자 sira115@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