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사 설치 관련 딴판 입장<br/>시 “지방도시 붕괴 직전 상황<br/>시대 흐름 균형발전에 역행”<br/>사측 “홀딩스 서울 가더라도<br/>인력 유출·세수 감소와 무관”
지역 최대의 현안인 포스코 지주사 전환을 둘러싸고 포항시와 포스코가 첨예한 대립을 보여 향후 지역개발의 파생효과에 대한 지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포항시는 8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지역 경제·사회단체 간담회’를 열어 이강덕 포항시장, 김정재·김병욱 국회의원, 정해종 포항시의회 의장 등 지역 경제·사회단체 관계자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포스코 지주사 전환에 따른 사후대책을 논의했다. 이어 포항 소재 포스코 본사 앞에서 포스코 지주사 전환에 반발하는 항의 집회를 갖고 포스코 지주사 서울 이전 취소를 촉구했다.
포항시와 이들 단체는 “포스코의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가 서울에 신설되면 포스코가 태생하고 성장한 포항에 대한 투자가 축소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항시는 지방도시는 붕괴 직전이고 수도권은 인구과밀로 교통 혼잡과 부동산값 폭등, 출산율 저하 등 사회적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어 수도권 집중은 우려를 넘어 절망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또 포스코 지주회사를 서울에 신설하는 것은 시대의 요구인 지역균형 발전을 거스르고 지방소멸과 국가경쟁력 하락을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에 포스코는 포스코의 지주사 출범으로 인해 포항, 광양 인력의 유출이나 지역 세수의 감소는 전혀 없다는 입장으로 맞서고 있다.
포스코는 “포스코 본사는 여전히 포항에 있을 것”이라며 “포스코는 포스코그룹의 핵심사업으로, 앞으로도 글로벌 최고의 경쟁력을 유지하고자 끊임없이 투자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지역개발 낙후화에 대한 우려는 근거 없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뿐만 아니라 “지주사 전환을 통한 그룹의 균형성장은 포항지역 발전에 더욱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포스코는 지주사 본사를 포항에 두자는 것은 명분일 뿐 경제적 효과는 달라지는 것이 없으며 서울의 그룹 전략본부가 지주사로 분리되는데 불과해 포항·서울 간 인력 이동이 없고 세수 등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향후 포스코는 글로벌 탄소중립 대전환에 발맞춰 수소환원제철 기술개발 등 철강사업 발전과 경쟁력 유지에 집중하고, 지주사는 친환경 신사업 발굴과 투자를 담당함으로써 포스코그룹의 100년 성장 기틀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전준혁기자 jhjeon@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