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원
비 그친 사이
고추잠자리 한 쌍 옥상 위를 빙빙 돌고 있다
두 마리가 하나로 포개져 있다
누가 누구를 업는다는 거
업고 업히는 사이라는 거
오늘은 왠지 아찔한 저 체위가 엄숙해서 슬프다
서로가 서로에게 서러운 과녁으로 꽂혀서
맞물린 몸 풀지 못하고
땅에 닿을 듯 말 듯 스치며 나는 임계선 어디쯤
문득 삶과 죽음의 갈림길이 있다
앉는 곳이 곧 무덤일
질주의 끝이 곧 휴식일 어느 산란처
죽은 날개는 너무 투명해서 내생까지 환히 들여다보인다
위의 시에 따르면 사랑은 상대를 과녁 삼아 목숨을 걸고 꽂히는 화살이다. 그와 동시에 사랑에 빠진 이는 상대에게 자신을 개방하여 화살에 제공하는 과녁이 된다. 사랑하는 삶은 “맞물린 몸 풀지 못하고” 삶과 죽음의 임계선까지 화살 맞은 상처로 피 흘리며 다다르는 삶이다. 그런데 시인은 삶과 죽음의 임계선 너머인 ‘내생’까지 상상한다. 그 내생이 살아갈 무덤은 사랑의 질주가 끝에 다다른 “어느 산란처”다. <문학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