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문화재연구소의 신라 속 ‘숨은그림찾기’ 51
옛사람들이 생활했던 흔적들이 땅속에서 발견되지만, 당시 모습 그대로 남겨질 수는 없을 것이다. 유적에서 발견되는 식물 또한 옛것 그대로의 모습으로 고스란히 남아 있지 않다. 유적에 남겨진 식물의 흔적을 발굴하여, 그것의 성격과 의미를 살펴보려 한다면, 우선 현대인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가령 오늘 내가 섭취한 식물 먹거리는 어떤 형태로 흔적을 남기는 것들인지 생각해 보자. 나는 오늘 콩을 섞어 지은 밥과 미역국으로 식사를 했고, 후식으로 귤을 먹었다. 아몬드 한 줌을 간식으로 먹었고, 핸드드립으로 내린 커피로 티타임을 가졌다.
나의 일과 중에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다른 사람이 들여다본다면, 귤껍질로 무슨 과일을 먹었는지 알 수 있을 것이고, 커피 원두의 찌꺼기를 보고 커피를 내려 마셨음을 아마도 추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쌀과 콩, 반찬으로 먹은 김치의 원료인 배추와 무, 아몬드를 섭취한 사실을 말해주는 흔적은 쓰레기통에 남지 않는다. 이렇듯 먹고 마신 것들은 이용 방법에 따라 잔해를 남기기도 하고, 남기지 않기도 한다. 심지어 쌀과 김치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중요한 먹거리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이것들은 소비에 한정 시켜 살펴본 것인데, 우리가 이용하는 식물자원의 생산지에 관해 생각해 보면, 또 다른 복잡하고도 재미있는 사정이 있다.
내가 마신 커피 원두는 에티오피아산인데, 생산지인 에티오피아에서 멀리 떨어진 우리나라에 음료로 이용한 잔해가 남게 되는 것이다. 아몬드의 경우, 우리가 먹는 부분을 감싸고 있는 단단한 껍질을 가진다. 내가 먹은 캘리포니아산 아몬드는 미국의 가공 공장에서 껍질을 벗기고 알맹이만 수입한 것이므로, 한국에서 먹고 있지만, 그 흔적은 캘리포니아의 어딘가에 쌓여가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유적에 남겨진 식물 이야기로 돌아와서 생각해보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정밀 발굴 조사되고 있는 신라 왕성인 사적 제16호 경주 월성의 성벽 아래, 그리고 해자(성곽을 둘러 조성된 방어용 도랑)에서는 70여 종의 씨와 열매가 발견되고 있다.
이렇게 발견되는 씨와 열매는 시간을 거슬러 1700~1600년 전의 당시 월성 및 주변 지역에서 이용된 식물이 남겨진 것이거나, 주변에 생육했던 식물이 남긴 흔적이다.
우리는 이러한 자료를 통해 신라인이 식물과 어떤 관계를 맺고 생활해 왔는지, 유적에 남겨진 식물자료를 매개로 하여 알 수 있는 신라인의 생활상을 그려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용되었던 모든 식물, 자랐던 모든 식물이 유적의 땅속에 남겨지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여 퍼즐 맞추기를 해나갈 필요가 있다.
최근 월성 해자에서 지금까지 국내 유적에서는 출토된 적이 없는 피마자(‘아주까리’라는 이름으로 더 친숙하다) 씨가 출토되었다. 씨로 기름을 짜고, 잎은 나물로도 이용하는 유용 작물이다. 피마자는 과거부터 우리나라에 자생한 종이 아닌 아프리카 원산의 식물이다. 국내 고문헌으로는 조선 태조 7년에 간행된 ‘향약제생집성방’에서의 기록이 최초이기 때문에, 이번 출토 자료는 신라시대 경주지역에 피마자가 존재했다는 것을 말해준다.
세계의 자료로 보면 피마자의 이동 경로는 실크로드를 통해 아프리카에서 인도, 또 중국으로 전해진 것이라 알려진다. 아마 이렇게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을 경유하여 우리나라로 전해졌을 것이다. 그런데, 신라시대 우리 땅에서 피마자가 재배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지금의 커피 이용 양상처럼 피마자는 월성에서 소비된 것이긴 하지만 생산지는 또 다른 문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식물 이름이 적힌 목간(다듬은 나뭇조각에 글을 써서 문서나 편지로 쓴 것) 또한 놓칠 수 없는 자료이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문헌연구팀에 따르면 월성 해자 출토 목간에 적힌 천웅(天雄)은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의 덩이뿌리를 이르는 말로, 약재로 쓰이나 독성을 가진 식물 부위이다.
또 와(萵)는 봄 채소 중의 하나, 상추류의 옛 이름이다. 이러한 잎채소, 뿌리 이용을 알 수 있는 자료는 씨앗으로 남겨지지 않는 귀중한 정보가 되는 것이다.
유적에 남겨진 동물, 식물로 고대인의 식탁을 복원해보려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적에 남겨진 자료들은 운 좋게 남겨진 일부에 대한 정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당시의 식문화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또한 식탁을 구성하는 먹거리의 생산, 유통, 소비에 대해 밝혀내는 일이 뒤 따라야지만, 식물 이용을 둘러싼 옛사람들의 동선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게 되어, 당시의 생활상을 묘사해 낼 수 있게 된다. 유적에서 출토된 자료를 면밀히 조사하는 것에 더하여 문헌 자료의 조사, 전승되어 온 전통식물이용법에 관한 조사와의 협업을 통해 빠진 퍼즐을 채워나가야 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