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회 자체 운영 선제 대응<br/>조직 개편·정책 지원관 도입 등<br/>3개 분야 12개 과제 실행 계획
대구시의회는 9일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에 대응하기 위한 자체 인사 운영방안인 ‘대구시의회 인사권 독립 추진계획’을 확정·발표했다. 대구시의회는 “지방의회 사무직원 인사권 등을 지방의회 의장에게 부여하는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 지방의원 의정활동 지원을 강화하는 ‘정책지원 전문인력 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에 따라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대구시의회 인사권 독립 추진계획’은 △자치분권 2.0시대를 선도하는 ‘의회 조직’ 개편 △인사권 독립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자체 인사제도’ 수립 △의원 의정활동 지원을 강화하는 ‘정책지원관’ 도입 등 3개 분야 12개 중점과제를 담고 있다.
우선 대구시의회 조직은 1개 담당관과 3개의 팀을 신설한다. 이를 통해, 의회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른 변화된 행정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대구시 집행부와 교류·협력 강화를 위해 ‘의회와 집행부 간 인사교류’를 활성화한다. 아울러 직원 다면평가 신설, 평정 반영기간 확대(계급별 1년씩), 가산점 체계 정비 등 의회 규모와 특성에 맞는 인사 운영으로 조직 활력 및 경쟁력 제고에 주력하며 의회만의 차별화된 맞춤형 교육·후생 복지 시스템도 마련해 나간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 이후 채용되는 정책지원관은 모두 15명을 채용하며, 의원 밀접 지원에 적합한 ‘전문위원실’에 배치한다.
장상수 대구시의회 의장은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은 민선 지방자치 부활 이후 32년 만에 새로운 패러다임인 ‘자치분권 2.0’ 시대를 개막하는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며 “내년 시행되는 의회 인사권 독립이 성공적으로 안착해 대구시 자치역량 강화의 밑거름이 될 수 있도록 착실히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의회는 지난 1월 전국 최초로 ‘인사권 독립 실무전담팀(T/F)’을 설치하고 추진단 회의(3회), 전 직원 대상 설문조사(2회) 및 간담회(6회), 외부 용역 등 다양한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분야별 실행방안을 마련했다.
/이곤영기자 lgy196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