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작은 새의 발자국

등록일 2021-11-21 18:57 게재일 2021-11-22 18면
스크랩버튼
하상만

작은 새가 꽃잎 위에

 


발자국을 남겼다

 


바람은 불어서

 


바닥 위에 놓인 꽃을

 


어딘가로 몰고 가는데

 


발자국을 간직한 꽃잎만

 


날아가지 않는다

 


입술을 떨다가


바닥에 그냥 붙어 있다

 


작은 새의 발자국이

 


꽃잎을 눌러 앉힌 것인데

 


다시 오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꽃잎은 눌러앉아 있다

 


작은 새의 발자국을

 


지지대로 삼고서


우리는 타자와의 깊은 관계를 통해서만 자신의 주체성을 형성시킨다. 위의 시의 꽃잎은 타자의 흔적을 자신의 삶에 깊이 받아들여 생의 무게로 전화시킬 수 있었다. 그 흔적이 그리움의 정동을 일으켰기 때문이다. 이에 꽃잎은 작은 새가 “다시 오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 새에 대한 그리움이 꽃잎의 삶의 무게를 더해줄 것이며, 그 무게 덕분으로 바람에 흩날리지 않는 주체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