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등록일 2021-11-17 19:17 게재일 2021-11-18 18면
스크랩버튼
하보경

눈을 감았다 뜨는 사이, 수억 년이 흐르고

새의 까치발을 딛고

다시 텅 빈 하늘

혼자서 보는 노을

노랗고, 빨갛고, 까맣고

어떤 슬픔도 가능할 것 같은 색깔을

휙휙 뿌려대고

지느러미 흔들며 검은 하늘 속으로 사라지는

저 혼돈

“수억 년이 흐”른 시간이자 눈 깜박한 시간 사이에서, 새는 슬픔의 색깔을 텅 빈 하늘에 퍼뜨리며 사라지고, 이어 하늘은 검게 변한다. 화자는 새가 사라지면서 빈 하늘에 뿌려댄 슬픔의 색깔들-노랑, 빨강, 검정. 짙어지는 노을의 색깔-이 남겨놓은 흔적들에 대해 ‘저 혼돈’이라고 지칭한다. 새의 사라짐이 한 세계의 사라짐이라고 할 때, 그 세계가 사라지고 텅 빈 공간에 남은 것은 혼돈스러운 슬픔인 것이다.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