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깊고도 가벼운 상처

등록일 2021-10-27 18:39 게재일 2021-10-28 18면
스크랩버튼
김정수

밭을 매다 보면

미처 파내지 못한 돌멩이를 만날 때가 있다

언젠가 영역 밖으로 밀려날 운명임을 알면서도

흙의 멱살 꽉 그러쥔 채 놓아주지 않는다

겉으로 드러낸 부분만으로도

얼마나 환한 상처인지 알 수 있지만

어둔 햇빛 고스란히 받아들이고 있다

파면 팔수록 더 깊이 제 모습 드러내는,

내 가슴에도 단단히 박힌 상처 하나 있다

늦은 밤 취기에도 풀어 놓지 못하는, 그래서 더

사랑은 재미없는 게임이었을 게다

(….)

돌멩이 하나 파낸 자리

밭의 배꼽 같다

 

 

위의 시에서 실패한 사랑과 연관되는 것으로 보이는 상처는 밭에 박혀 있는 돌멩이로 비유된다. 그러니 밭은 시인의 마음을 비유한다. 그래서 “돌멩이 하나 파낸 자리”가 “밭의 배꼽 같다”는 진술은 상처를 파낸 자리가 마음의 배꼽 같다는 말이겠다. 어머니의 탯줄이 잘린 흔적이 배꼽이니, 시인에게 마음의 어머니는 상처인 것. 상처가 시인의 마음을 어머니처럼 키웠던 것이다.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