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숲은 왜 오월을

등록일 2021-10-24 20:15 게재일 2021-10-25 18면
스크랩버튼
김려

풀을 베다가

몸통 반이 날아간


맹꽁이를 발견했다

 


무릎을 꿇고


수풀을 뒤져


달아난 살점 반을 찾았다

 


무릎을 꿇고


민들레 옆에 구덩이를 파고


냉이 잎을 깔았다

 


비로소 제자리에 놓인 살점들

 


박새가 둥지를 허물고 있었다


- ‘숲은 왜 오월을’ 전문


“몸통 반이 날아간” 맹꽁이의 시신을 발견한 시의 화자는 구덩이를 파서 냉이 잎을 깔고 그 위에 살점 반을 찾아 시신을 수습해준다. 그리고 “무릎을 꿇고” 숙연만 마음으로 애도를 표한다. 어떤 존재의 죽음이든지 모든 죽음에 대해서는 책임감과 엄숙한 태도를 가져야 한다. “박새가 둥지를 허물고 있었”던 것도 맹꽁이의 시신 위에 덮을 것을 마련하여 그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서 아닐까.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