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서재라는 공간은 완전히 사라져 버렸는가

등록일 2021-09-13 19:38 게재일 2021-09-14 17면
스크랩버튼
어떤 사람의 서재를 보고 있으면, 그의 관심사뿐만 아니라 그의 성격, 생각의 흐름 등을 읽어낼 수 있다. 서재를 읽는 즐거움은 누군가를 이해하고, 새로운 생각을 창출해내는 것이다.

문학사회학자 이언 와트(Ian Watt)는 ‘소설의 발생(The Rise of the Novel)’이라는 책에서 독서대중의 형성과 소설의 발생 사이의 관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 즉, 그에 따르면 지금 우리에게 고전으로 남아 있는 작품들을 쓴 작가들이 등장하게 된 현상에는 산업혁명 이후 대량출판인쇄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18세기에 독서대중이 증가하기 시작한 배경이 존재하고 있다. 과거에는 부유층의 전유물이었던 책과 독서가 이 시기에 급격하게 중간계급의 중심문화가 되어, 이후 백 년 이상 이어졌던 것이다. 바야흐로 사치품이자 자기 과시의 상징이었던 책이, 대표적인 여가 활동의 대상이자, 인간이 지식을 배우고 익히는 수단이 되었던 것이다.

완전히 같은 내용, 같은 분량의 글자가 고급 종이를 써서 단단하고 꼼꼼하게 제본된 커다란 판형의 하드커버의 책에 담길 수도 있고, 비록 인쇄상태도 조악하고, 종이로 금방 바스러질 듯 약하긴 하지만 언제나 가지고 다니기 좋은 소프트커버, 내지 문고판의 작은 책에 담길 수도 있다. 자기 과시의 사치품에서부터 여행할 때 언제든 가지고 다닐 수 있는 일상품까지, 책은 단 하나의 의미로 규정되는 기호가 아니기 때문이야말로 흥미롭다. 내가 무엇을 먹고 마시는가 하는 것 역시 내가 누구인가 하는 취향이나 기호를 보여주는 것이지만, 애초에 책이란 그것의 물성, 즉 물질로서의 성격을 고려하는 순간, 다른 어떤 것보다도 그 책을 고른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하는 것을 보여주는 기호로 작동하기를 멈추지 않는다. 누군가의 가방 안에 흘깃 보이는 책 한 권만큼 그 자신의 마음을 드러내 보이는 기호는 존재하지 않으리라. 때로는 타인으로부터 읽히게 되는 것이 싫어 책에 꼼꼼하게 표지를 싸는 경우도 있지만, 그것 역시 소지품으로서 책이 갖는 기호로서의 의미를 말해주는 것이다.

당연히, 귀한 책들을 잔뜩 꽂아놓은 서재야말로 과시적 기호 그 자체가 아닐 수 없다. 18세기 경제력을 획득한 부유한 상인계급의 사람이 자신의 지식을 과시하기 위해 서재를 꾸미고 그곳에 2절 정도의 커다란 판형의 책들을 빼곡히 꽂아두고 손님이 방문할 때마다 한 권, 한 권 꺼내 보여주며 이 책을 구하기까지 얼마나 힘들었는가 하는 이야기를 눈을 빛내며 늘어놓는다. 여기에서 드러나는 과시의 마음은 오히려 순수한 것이다. 골동 취미의 일부로서 옛 책의 수집과 그 책 속에 담겨 있는 지식을 빌려 자신이 갖고 있는 교양과 지적 취향을 과시하는 셈이다. 별로 해롭지 않은 자기 자랑이다.

이처럼 누군가의 ‘서재’를 보는 일은 즐거운 일 중에 하나였다. 내 어린 시절에는 친구의 집에 꽂혀 있는 책들을 보면서 내 친한 친구의 가족들은 어떤 사람들일까 상상해보기도 했다. 이른바 서재를 읽는 것이다. 귀한 책들이 많이 모여 있는 서재에서 주인의 자랑이 담긴 설명을 들으며, 눈호강을 하는 것도 즐거운 일이 될 테지만, 책은 소장하는 물건만은 아니라 그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생각이나 마음을 보여주는 것이므로, 어지럽게 쌓인 책들 속에서 그것을 소중히 아끼며 꽂아놓은 주인의 마음을 가늠해보는 것이 오히려 더 즐거운 일이다. 그가 모아둔 책들, 그리고 그 책들이 놓여 있는 순서를 읽어가다 보면, 마치 그 사람의 무의식 내부를 들여다보듯, 책의 행간을 읽어내듯, 그 마음을 이해할 듯한 기분이 든다.

최근 사람들이 책을 더이상 많이 사지 않게 되면서, 또한 책의 소비가 전자디지털매체로 옮겨가면서 확실히 집안에서 가장 먼저 사라지고 있는 공간은 서재인 것 같다. 우리들 사고의 저장은 웹페이지 접속 기록처럼 온라인 어딘가에 쌓여 있을 뿐, 이제는 서재처럼 슬쩍 훔쳐보는 일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대로 우리들에게 ‘서재’라는 공간은 사라져버린 걸까.

/홍익대 교수

송민호의 書架(서가)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