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모방의 모방, 불완전의 불완전

등록일 2021-08-16 19:49 게재일 2021-08-17 17면
스크랩버튼
철학자 플라톤이<br/>미술을 낮게 평가한 이유
고대 철학자 플라톤 조각상. /아테네 국립아카데미

미술사는 미술을 학문적으로 다루는 분야이다. 연구대상은 미술작품과 미술가이다. 미술에 대한 이론이나 미술작품 혹은 미술가에 대한 문헌적 기록들은 간헐적이나마 고대에서부터 있어 왔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특정 작품이나 미술가에 대한 단편적인 것들로 구체성과 체계성이 떨어진다. 철학자들은 세계의 근원과 보이는 세계를 움직이는 보이지 않는 원리를 탐구하면서 아름다움에 대한 생각들을 펼쳤으며 그러는 가운데 미술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을 드러내기도 했다. 예컨대 이데아론으로 잘 알려져 있는 고대그리스 철학자 플라톤(기원전 427…347)은 미술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지 않았다.

그의 이론은 세계를 이원론적으로 설명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감각할 수 있고, 경험할 수 있는 현상계의 모든 것은 불완전하다. 하지만 불완전한 현상계의 모든 것들은 이데아의 세계에서 완벽한 상태로 존재한다. 이데아는 모든 대상들의 원인이자 본질이다. 이데아가 존재하기 때문에 현상계에서 대상들이 실재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플라톤은 그의 저서 ‘국가론’에서 이데아론을 설명하기 위해 ‘동굴의 비유(Allegory of the cave)’를 든다. 동굴에 갇힌 죄수들이 벽만 바라보도록 결박되어 있다. 동굴 입구로부터 빛이 새어들어 오고 고개를 돌릴 수 없는 죄수들이 볼 수 있는 세상이라고는 벽에 비친 그림자들뿐이다.

동굴은 우리가 살고 있는 현상계이고 이곳에서 경험하는 것은 실재가 아니라 그림자일 뿐이다. 그렇다면 그림자를 가능하게 한 본체는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데아의 세계에 있다. 플라톤에게 현상계는 진리가 아니다. 진리는 오직 불변하는 이데아의 세계에만 존재하며 현상계는 이데아의 모방에 불과하다. 이 같은 세계관을 가지고 있었던 플라톤에게 현상계의 이미 불완전한 대상을 다시 모방하는 미술은 모방의 모방, 복제의 복제, 불완전의 불완전으로 여겨진 것은 당연한 논리적 귀결로 여겨진다.

‘모방(mimesis)’은 서양미술을 이끌어 온 중심 개념이다. 그리스가 이루었고 로마가 계승한 찬란한 예술정신은 중세 초기 혼란을 거치면서 파괴되고, 사라지고, 잊혀졌다. 로마가 동서로 분열되면서 이미 절정을 이루었던 미술은 서서히 쇠락하기 시작했고 476년 서로마제국의 멸망으로 치명적인 단절의 시기가 찾아 왔다. 800년 경 프랑크 왕국의 샤를마뉴가 영토 확장과 함께 학문과 문화 예술을 장려하면서 이른바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일으킬 무렵 고대와 중세 사이의 문화 예술의 질적 격차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벌어져 있었다. 샤를마뉴로부터 고대의 복원이 시작되었지만 그것이 하나의 유의미한 결실을 맺기 까지는 무려 600여년의 시간을 더 기다려야 했다.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르네상스가 꽃을 피우면서 되살아난 관념이 다름 아닌 모방이다. 모방은 눈에 보이는 세계를 미술작품 속에 그대로 옮겨 놓는 것을 말한다. 이것을 ‘재현’이라고 부른다. 가장 완벽한 재현은 가장 완벽한 눈속임이다. 평면적인 화면에 공간감을 불어넣기 위해 원근법을 고안해 냈고, 과학적으로 분석해 정밀하게 묘사된 인물과 대상은 설득력을 얻게 된다. 움직임과 감정의 표현으로 생생함이 더해졌고, 색채와 명암대비를 통해 모방과 재현이 절정에 이르게 된다. 만약 모방과 재현이 미술이 추구하려던 유일한 종착역이었다면 미술에 대한 플라톤의 평가는 적중했을지 모른다. 아니 더욱 극단적으로 말해 미술은 사진이 출현하면서 일찌감치 종말을 고했을지 모른다.

다행히도 플라톤의 이론은 빗나가고 말았다. 그는 이원론적 틀 속에서 미술을 보았고, 시대와 함께 미술의 속성도 유기적으로 변한다는 사실을 감지하지 못했다. 더욱 다행스러운 것은 눈에 보이는 것을 기계적으로 완벽하게 모방해 내는 사진이 출현했어도 많은 이들의 우려와는 달리 미술은 살아남았다. 미술은 사진이 만들어 내지 못하는 다른 것들을 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기회가 된다면 플라톤에게 현대추상미술을 보여주고 싶다. “플라톤 선생님, 세계를 재현하지 않는 추상미술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추상에 대해서도 이데아가 존재하는지요?”하고 말이다.

/김석모 미술사학자

김석모의 미술사 기행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