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사를 즐기는 여러 방법들이 있다. 거장들의 생애를 쫓아가며 대표작을 만나는 재미도 쏠쏠하고 미술사에 여행을 곁들여 보는 것도 좋다. 세계 주요 미술관들을 방문해 오리지널 작품의 아우라를 만끽하는 것은 언제나 특별한 경험이다. 고대신화를 읽어가며 미술가들의 상상력에 푹 빠져보는 것도 더할 나위 없이 즐겁다.
미술사를 즐기는 또 다른 흥미로운 방법을 추천하자면 하나의 주제를 선택해 각 시대 대표작들을 서로 비교해 보는 것이다. 동일한 주제를 달리 해석하는 미술가들의 시선을 따라가다 보면 미술사의 색다른 면모를 발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양미술사에 자주 등장하는 기독교 도상으로 ‘최후의 만찬’이 있다.
최후의 만찬은 예수 그리스도가 유대인들에게 붙잡혀 십자가형에 처해지기 바로 전날 열두 제자들과 함께한 마지막 저녁식사를 가리킨다. 예수는 제자들과의 저녁식사 자리에서 빵과 포도주를 나누어 주면서 자신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 한다. 빵은 예수의 몸을, 포도주는 십자가에서 흘린 그의 피를 상징한다. 예수는 타락한 인류 대신 십자가에서 피 흘려 죽으심을 당했고, 죽음을 이기고 사흘 만에 부활해 하늘로 올라가셨다. 이처럼 최후의 만찬은 예수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구원이라는 기독교의 신학적 핵심 내용을 담고 있는 만큼 예수의 생애라는 큰 주제 속에서 자주 나타난다. 최후의 만찬이 특히나 자주 그려진 곳은 수도사들의 식당 레펙토리움(refectorium) 벽면이다. 그 이유는 어렵잖게 짐작이 된다. 최후의 만찬이 지닌 신학적 의미를 상기시킬 뿐만 아니라 수도사들의 매 끼니가 그리스도와 함께하는 마지막 만찬이라는 현재성을 불어 넣기 위함이다.
이탈리아의 고도 라벤나의 성 아폴리나레 누오보 성당 벽면은 6세기경 제작된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다. 예수의 행적을 묘사한 모자이크에는 최후의 만찬이 그려져 있다. 말발굽처럼 생긴 식탁 주위로 예수와 제자들이 촘촘하게 앉았다. 등장인물들의 의상에서도 그렇지만 비스듬히 기댄 모습이 고대로마의 풍습을 따르고 있다. 식탁 위에는 빵과 포도주 대신 물고기가 나타난다. 물고기에는 여러 신학적 의미가 담겨 있지만 무엇보다 항구 도시 라벤나 사람들의 식탁에 주로 올랐을 친근한 현지 음식이기 때문에 그려진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1320년경 화가 피에트로 로렌체티가 그린 ‘최후의 만찬’은 중세에서 르네상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성격을 가장 잘 보여주는 그림이다. 이 그림은 아시시의 산 프란체스코 교회 천장에 그려져 있는데 화가는 둥근 식탁을 중심으로 둘러앉은 인물배치는 물론이고 공간암시에 특히나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흥미롭게도 시중드는 사람들이 등장하고 심지어 화면 좌측 별도의 공간에는 설거지하는 인물들도 나타난다. 미술가의 상상력이 슬쩍 묻어나는 것을 보면 중세적 전통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 르네상스로 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벤나와 아시시에 그려진 최후의 만찬을 감상했다면 이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그림으로 시선을 돌려 보자. 앞 선 두 그림과 르네상스 거장의 걸작을 비교해 보면 이것이 화면구성, 공간묘사, 인물표현, 행위묘사, 심리암시 등에서 전혀 다른 차원의 그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술작품의 미술사적 가치와 평가는 항상 상대적이다. 우열을 가리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비교를 통해서 작품의 고유한 특징이 분명하게 확인되기 때문이다. 르네상스에도 또 그 이후에도 얼마나 많은 최후의 만찬이 그려졌는지 모른다. 이들을 채취해 종적, 횡적으로 위치시켜 보면 성서에 기록된 하나의 사건이 시대와 미술가에 따라 얼마나 달리 해석되는지 살펴볼 수 있다. 이것은 표현과 해석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세계를 바라보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미술작품을 감상해 보면 미술사를 바라보는 넓은 시야를 얻을 수 있다.
/미술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