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여성·청년 특화 지원 공모 <br/>경북도, 6개 사업 선정… 33억 확보<br/>고졸 청년 창업교육·멘토링 지원 <br/>경력단절 여성 재취업 훈련 나서
경북도가 ‘여성·청년 특화 지원 사업’ 공모에 6개 사업이 선정돼 전국 지방자치단체 중 최다 규모의 국비(33억원)를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고용노동부 여성·청년 특화 지원 사업 공모는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 내 경력단절여성 및 고졸 청년에게 자치단체별 지역 특성에 맞는 직업훈련과 취·창업 등을 지원해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경북도는 △경력단절 여성 맞춤형 창업 및 사회적 경제조직 설립 지원 △경력단절 여성 재취업을 위한 교육·취업 지원 사업 △직업계고 졸업 청년 역량 강화 및 채용 기업 지원 △고졸 청년 창업 활성화를 통한 신규 일자리 창출 △고졸 미취업 청년 채용 친화기업 경쟁력 강화 △비대면 취업 문화 정착을 위한 온라인 박람회 지원 등 6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재취업 훈련(교육) 및 재도약 프로그램을 지원해 취업 성공 후 3개월간 해당 사업장에 고용유지가 된 경우 정착지원금 총 120만원을 지원한다. 또 경북에 특화된 창업 및 사회적경제 분야 아이템과 능력을 가진 창업 기업을 신규 발굴하고, 창업 지원금을 기업당 800만∼1천500만원 지원한다.
고졸 청년들을 대상으로는 4대 권역별 체계적·맞춤형 창업교육 및 멘토링을 지원하며 창업 지원금을 기업당 1천500만원(총 30건 정도)을 지원한다. 또한 도내 권역별 훈련 기관(전문대)을 선정해 교육과정 진행 후 취업연계 서비스까지 지원, 채용 기업에게는 기업당 500만원의 환경개선지원금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청년 취업을 장려하는 청년친화기업에게는 시제품 제작 지원 기업당 1천500만원 32건, 기술 전문 인력 지원 500만원 13건, 해외 판로 개척 지원 500만원 13건 등을 지원해 지역 내 중소기업 성장과 청년층 취업을 동시에 장려한다.
경북도 배성길 일자리경제실장은 “코로나19의 장기화 경력 단절 여성과 고졸 미취업 청년은 상대적으로 더욱 구직 애로를 겪고 있다”며 “이번 여성·청년 특화 지원 사업을 통해 그동안 상대적으로 일자리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지역 내 경력단절 중장년 여성, 고졸 미취업 청년의 고용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도는 올해 일자리 창출 지원 사업으로 총 9천878억 원을 투입해 일자리 창출 11만6천351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