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건축의 아버지 김수근씨는 “우리 선조들은 집을 건축할 때에 집 없는 이들이 묵어갈 사랑방을 두었다”면서 건축에는 반드시 이웃과 함께할 공간이 포함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그의 제자 승효상은 “무엇이 진정한 건축인가?”하는 문제로 고민하던 시기에 우연히 달동네를 방문하게 되었다. 달동네는 가난한 이들이 사는 곳이라 서로 필요한 자원을 나누며 살았다. 단칸방이라 집에서 모일 수 없어 지형을 따라 생성된 좁고 굽은 길에서 모였는데 그 길은 이들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나누는 놀이터요, 치유가 이루어지는 병원이요, 물자를 나누는 시장이요, 삶을 공유하는 만남의 광장이었다. 이 길에서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고, 재활의지를 다지고, 다시 세상을 향해 나아갈 힘을 얻었다. 승효상은 달동네의 길에서 자신이 걸어가야 할 건축의 길을 찾았다.
우리나라를 방문했던 프란치스코 교황에게 “교회란 무엇인가?”하고 묻자 교황은 “교회는 야전병원과 같은 곳”이라 했다. 야전병원은 전쟁터에서 부상당한 사람을 치료해서 다시 전쟁터로 돌려보내는 재활의 장소이다. 전쟁터 같은 세상에서 상처입은 사람이 치료받고 다시 세상으로 나가도록 도와주는 곳이 교회라는 뜻이다. 도시건축학자들은 야전병원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 달동네라고 했다. 달동네는 인생의 낙오자들이 잠시 머물러 살면서 재활의 의지를 다지고 다시 나갈 준비를 하는 곳이다. 미관을 해친다는 명분으로 달동네를 없애려 하지만 달동네가 사회에 기능하는 가치는 값으로 매길 수 없기에 선진국가에서는 하나 이상의 달동네를 존속 시키고 있다. 미국의 할렘, 영국의 이스트런던, 프랑스의 아롱디스망이 그것이다.
나사렛은 로마에 의해 파괴된 세포리스라는 도시에서 시오리 정도 떨어진 작은 마을이다. 그 마을은 멸시받고 천대받은 인생의 낙오자들이 사는 달동네와 같은 곳이었다. “나사렛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나겠느냐?”는 속담이 성경에 기록될 정도로 철저히 버림받은 달동네였다. 그곳이 바로 예수의 고향이었다. 그곳에서 예수는 버려지고 상처입은 자들의 재활 치유자였고, 삶을 공유하는 희망의 예언자였고, 생명의 길을 제공하는 자였다. 당시 성공한 자들은 예루살렘 성전에서 축제를 즐겼지만 실패한 낙오자들은 이런 저런 이유로 성전출입이 금지 되었다. 예수는 이들을 위한 축제를 갈릴리 빈들에서 열었다. 그것이 오병이어의 기적을 불러온 달동네의 축제이다. 이 축제 정신이 모든 것을 공유하는 초대교회로 이어졌고 오늘의 교회의 기초가 되었다. 프란치스코가 말한 야전병원은 오늘의 달동네이며 오늘의 교회는 달동네와 같은 교회가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