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통해 3개 기관은 고용절벽시대가 현실화하는 상황에서 상호 협력을 바탕으로 유기적인 협업체계 구축을 통해 지역산업의 지속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활성화에 힘쓸 방침이다.
주요 협약 내용은 △협력기관 간 인프라 활용, 기업지원 홍보 및 정보공유 △지역산업발전 및 일자리 창출 지원 협력사업 발굴 △협약기관 및 회원사(입주사) 청년 채용 연계 지원 등이다.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다른기사 보기
대구 기사리스트
대구시 구·군의회 의장협의회 “집중호우 때 워크숍 진행 사과”
대구시, 통합사례관리 자문단 운영
군위군, 여름사과 신품종 ‘골든볼’ 첫 수확⋯“대구사과 명성, 군위에서 되찾겠다”
iM사회공헌재단, ‘iM시니어 금융교육’ 실시
대구 두류공원, 국가 도시 공원 1호 지정 유력⋯법 개정으로 지정 요건 충족
폭염에 지친 심신 ‘힐링하기 좋은’ 비슬산 치유의 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