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닥터헬기 1140회 출동<BR>이중 영주지역 25%로 최다<BR> 응급장비 30가지·약품 갖춰<BR>전문처치로 `골든타임` 줄여
【영주】 경북 닥터헬기가 임무수행을 시작한 3년간 영주지역 출동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생명지킴이로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다.
지난 2013년 7월 운항을 시작한 경북닥터헬기의 1천140여회의 출동기록 가운데 영주가 289건으로 26%를 차지해 문경, 상주, 예천 등 9개 운항지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주시의 이 같은 출동실적은 골든타임을 줄이기 위한 시와 의료기관의 노력이 밑바탕이 됐다.
119구급대원이 환자의 상태가 위급상황인 경우 닥터헬기를 요청, 동양대학교 삼봉관 기숙사 앞에 마련된 헬기착륙장과 영주 시민운동장 앞 서천둔치의 인계점까지 환자를 신속히 이동시키는 빠른 대처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닥터헬기는 의사가 탑승해 응급현장으로 날아가며 기도삽관, 인공호흡기, 응급초음파기, 심근경색진단이 가능한 12유도 심전도기, 효소 측정기, 환자활력측정모니터 등 응급장비와 30여가지 응급 의약품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제세동(심장박동)과 심폐소생술, 기계호흡, 기관절개술, 흉관삽관술, 정맥로 확보와 약물투여 등 전문처치가 가능한 응급 이송헬기로 골든타임을 줄일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닥터헬기 요청은 119구급대원이나 소방상황실, 해경상황실, 경찰청상황실, 군 상황실 또는 보건의료기관의 의사 및 보건진료원으로서 환자를 상담·치료한 자만이 요청할 수 있어 응급상황에 대한 의료진의 판단과 사전 대처가 중요해 시는 의료기관과의 협조 등을 통해 닥터헬기의 활용을 높여 시민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영주시보건소는 의료진에 대한 빠른 대응 외에도 응급상황 발생 시 시민들의 자체적인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반상회보와 홈페이지 등을 통해 응급환자 발생 시 대응 매뉴얼을 배포하고, 이달부터 영주시 전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영주시 심폐소생술 응급처치 교육이수자는 8천명으로 올해는 1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해 안전한 지역 만들기에 나설 계획이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