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기대 큰 신라왕경 복원사업 중단 안 돼

등록일 2016-05-23 02:01 게재일 2016-05-23 19면
스크랩버튼
경북도가 국책사업으로 야심차게 추진 중인 신라왕경 복원사업이 문화재위원회의 뒤늦은 제동으로 중대 기로를 맞게 됐다는 소식이다. 지난 11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문화재위원회 합동분과(사적분과·건축분과·세계유산분과) 회의에서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 종합기본계획`에 대한 보고가 이뤄졌으나 계획안에 미비점이 많다는 이유로 접수가 거부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특히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경주역사지구 안의 건물복원 계획이 논란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신라왕경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자료가 전혀 없는 상황에서 유적 위에 건물을 짓는 행위는 문화재 훼손이며, 신라 왕궁이나 황룡사 목탑을 재건하더라도 그것은 창작품에 불과하다는 날카로운 주장까지 대두됐다. 특히 세계문화유산 구역에서는 `발굴`도 허락을 받아야 하는데, 새롭게 무언가를 짓는다면 상황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 참가한 문화재위원들은 계획안에 세계유산에 대한 개념 인식 자체가 없었다는 힐난과 함께 보고된 계획안을 그대로 실행하면 경주역사지구는 진정성을 잃어 세계유산 삭제 후보 1순위가 될 것이라는 심각한 우려마저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고학 유적은 발굴 후 복토가 원칙으로, 원래 상태로 돌려놓는다는 의미의 복원이라는 개념을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 학계의 주장이다. 결국 경주역사유적지구에 건물을 복원하는 것은 애초부터 실현 불가능한 시나리오였다는 비판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경북도가 추진 중인 신라왕경 핵심유적복원 및 정비지구는 역사문화 창조도시 조성을 위한 것으로 9천45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오는 2025년까지 10년에 걸쳐 완성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경주 월성·동궁과 월지·황룡사·월정교·첨성대 주변·대릉원 일원 등 8개 유적에서 발굴조사와 연구, 건물 복원 등의 내용이 포함돼 경주시는 올해 647억원을 들여 월성 해자와 문루 복원을 위한 기본 설계를 하고, 동궁과 월지 서편 건물 복원을 위해 단청·당호에 대한 조사 연구를 수행하겠다는 방침을 세운 상태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직접 현장을 방문해 조기 완성을 주문하는 등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국가적 사업에 대해 문화재청과 경북도·경주시와 함께 상호업무협력(MOU체결)까지 맺은 상태에서 문화재위원회가 뒤늦게 제동을 건 의도에 대한 일각의 우려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섣불리 손을 댔다가 역사적 가치를 상실할 지도 모른다는 문화재위의 걱정에 대해서는 전폭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지역민들의 기대를 한껏 모아온 신라왕경 복원사업이 이렇게 중단돼서는 안 된다. 충분한 연구와 고증을 거쳐 `훼손` 논란을 잘 해소해내고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사업이 완벽하게 추진되도록 역량을 다시 모아야 할 것이다.

특별기고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