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개선 등에 350억 지원
국토교통부는 12일 지난 5월 지정된 13곳의 도시재생선도지역 중 1차로 부산시(경제기반형)·서울시·창원시·영주시(근린재생형) 4곳에 대해 총 5천529억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승인했다. 사업 규모는 부산시가 2천952억원으로 가장 크고, 창원시는 1천765억원, 서울시 종로구는 459억원, 영주시 353억원 등이다.
국토부는 2017년까지 4년간 이들 4개 지역에 1천100억원(지방비 50%)을 지원하고, 문화부·중기청 등 12개 관계부처도 25개 사업에 2천215억원을 협업을 통해 함께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 신설되는 주택도시기금 등 정책금융의 활용, 건축규제완화 및 행정적 지원 등을 통해 총 1천4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 사업도 차질없이 지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영주시는 일제 강점기 및 1950년대 근대 한옥건물 등이 남아있는 후생시장과 중앙시장의 경관개선 및 리모델링을 통해 외부 관광수요 등을 유치하고, 고령화된 주민의 소득창출을 위한 생활공예 등을 중심으로 하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 육성 사업이 함께 추진된다.
중앙선과 영동선 철도가 교차하는 교통요지인 영주시는 1973년 영주역이 이전되면서 원도심(영주 1, 2동 일원)의 빈점포 증가 및 인구 감소 등 쇠퇴가 심화됐기 때문이라는 판단에서다.
정병윤 국토도시실장은 “압축성장기에는 도시 외곽에 대단위 개발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도시 내부의 오래된 공간을 다시 활용하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지역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다양한 도시재생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올해 지정한 13곳의 선도지역 중 나머지 9곳(천안, 청주, 공주, 군산, 순천, 목포, 광주동구, 대구 남구, 태백)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활성화계획을 승인하고, 지속적으로 사업을 지원하고 성과를 도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박순원기자
god02@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