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화물 3배 과적·평형수 태부족으로 복원성 상실”

무등일보 특별취재팀
등록일 2014-04-23 02:01 게재일 2014-04-23 3면
스크랩버튼
새정치연합 김영록 의원, 한국선급 검사 자료 공개
세월호 침몰사고 원인은 급격한 회전과 함께 3배 이상 화물을 과적하는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복원성을 상실해 발생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에서 도입 후 개조한 세월호 복원성 검사를 하고 승인해 준 한국선급(KR)은 구조변경 뒤 무게중심이 51㎝ 높아져 화물을 덜 싣고 평형수(平衡水·밸러스트)를 더 채우도록 했지만, 선사가 이를 무시하고 화물을 과적, 사고를 불러왔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은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의원이 22일 공개한 한국선급 검사 자료에서 밝혀졌다.

세월호 선사는 일본 도입 후 지난 2012년 8월29일부터 지난해 2월6일까지 목포의 한 조선소에서 객실 증설, 선수 램프 제거 등 여객설비 증설공사를 진행했다. 세월호 선박 복원성 검사는 세월호 공사 준공보다 13일 앞선 지난해 1월24일 시행됐다.

증설 전후 여객 및 재화중량 등을 비교하면 총 톤수는 6천586t에서 6천825톤으로 239톤 늘었다.

재화중량(DWT·화물 총중량)은 3천981t에서 3천794t으로 187t 줄고, 경화중량(LWT·여객 화물 뺀 순수 선박 중량)은 5천926t에서 6천113t으로 187t 늘었다. 이 때문에 무게중심(VCG)은 11.27m에서 11.78m로 51cm 높아졌다.

순수여객 탑승인원은 804명에서 921명으로 117명 증가했다.

한국선급은 세월호 구조변경을 승인하면서 조건을 달았다.

화물량은 구조변경 전 2천437t에서 987t으로 1천450톤을 줄이고 여객은 88t에서 83t으로 5t 축소해야 하며 평형수는 1천23t에서 2천30t으로 1천7t을 늘려야 복원성이 유지된다고 적시했다. 복원성이 유지되려면 화물을 987t만 싣도록 했지만 세월호는 이보다 3배 더 많은 자동차 180대 포함 화물을 3천608t톤을 실었다. 화물을 과적하면서 평형수는 승인 조건보다 훨씬 적었을 것으로 보인다.

/무등일보 특별취재팀

(한국지역언론인클럽 회원사)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